earticle

논문검색

김유정 문학의 부싯깃 - 술 · 여자 · 노래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inder of Kim,you-jeong's Literature - Focus on Wine·Women·Song

유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touched upon the roles of wine, women and song in the literature of Kim,Yoo Jeong. First, on his love for wine, I gathered infored information on his favorite wine, side dishes and drinking habits from his acquaintance. Kim did love drinking suggestions from anyone. Once drunk, he showed gesture like children and talked a lot with his eloquent tongue. In his masterpiece, he showed his love for wine by illustrating drinking scenery of 1930s. In his writings, appearing women are kisaengs(in Korean), waitresses for cafes, choomo(hostesses in traditional Korean bar), dulbyong-i and prostitutes. Usually, kisaengs and waitresses were showed in cities,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choomo, dulbyong-i, and prostitutes were showed in rural areas. Kim, in his works, supported these women in 1930s because they were in prostitution not for their sexual desire but for the life of their family.

한국어

김유정 문학 속에서 술과 여자와 노래의 역할에 대해서 추적해보았다. 먼저 김유정 지인들의 증언을 통해서 김유정의 술에 대한 애호. 그가 좋아하던 주류와 술 안주, 그의 술버릇들을 보았다. 유정은 술에 관한한 청탁을 가리지 않았다. 일단 술에 취하면 그는 어린이와 같은 독특한 제스츄어를 보여주거나, 평소 입이 무겁고 말더듬이던 상태에서 벗어나 능변과 달변으로 좌중을 휘어잡는 호방함을 보여주었다. 김유정의 술에 대한 애호는 그의 작품 속에서도 술자리 장면을 재현하여, 1930년대 당시 사람들의 술문화를 보여주고 있었다.

한편 김유정의 작품 속, 술자리 장면에 등장하는 여성들을 살펴보았다. 술과 관련된 직업을 가진 여성들은 기생, 카페, 여급, 주모, 들병이, 갈보들이 있었다. 그리고 유정의 작품 가운데 도회지 배경 작품에서는 기생, 카페 여급들이, 농촌 배경 작품에서는 주모, 들병이, 갈보들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고 있었다. 30년대적 삶에서 유정은 그의 작품을 통해 이들 여성에 대한 강력한 옹호자였다. 이들 여성들은 자신의 성적 욕망 때문이 아니라 가족의 생계를 위해서 매매춘에 뛰어들었다는 것이다.

목차

내용요약
 I. 술의 장
 II. 여자의 장
 III. 노래의 장
 IV. 유정 문학의 부싯깃
 부록 : 김유정이 즐겨 부르고 듣던 또는 김유정 작품속에 나온 우리 소리들
 특별요약문
 Abstract

저자정보

  • 유인순 Yoo, In-soon. 강원대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