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eminar on the Application of Legend Gomanaru & the Sense of Korea Customs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I. 서론
II. 고마나루 설화의 형성과 전개
1. 구비설화에서 문헌설화로의 출발 - 1935년『충남향토지(忠南鄕土誌)』공주공립보통학교 교우회
2. 일반 문헌에 나타난 고마나루 설화
3. 기관의 지지(地誌)에 나타난 고마나루 설화
III. 고마나루 설화의 민속학적 전개
1. 국가 단위의 의례
2. 민간신앙의 용왕제
IV. 활용 방안 - 결론을 대신하여
1. '공주' 즉 '웅진'의 이미지(Emblem)
2. 세계적인 문화 벨트(belt)로 활용하기
3. 단기적인 활용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II. 고마나루 설화의 형성과 전개
1. 구비설화에서 문헌설화로의 출발 - 1935년『충남향토지(忠南鄕土誌)』공주공립보통학교 교우회
2. 일반 문헌에 나타난 고마나루 설화
3. 기관의 지지(地誌)에 나타난 고마나루 설화
III. 고마나루 설화의 민속학적 전개
1. 국가 단위의 의례
2. 민간신앙의 용왕제
IV. 활용 방안 - 결론을 대신하여
1. '공주' 즉 '웅진'의 이미지(Emblem)
2. 세계적인 문화 벨트(belt)로 활용하기
3. 단기적인 활용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곰나루 傳說의 變異型 考察네이버 원문 이동
- 2'公州'地名에 나타난 '고마·熊·懷·公·錦'의 語源네이버 원문 이동
- 3國朝五禮儀.1-5네이버 원문 이동
- 4『충남향토지 (忠南鄕土誌)』,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교우회, 1935.
- 5공주군,『공주(公州)의 산하(山河)』, 공주군, 1981.
- 6공주군지편찬위원회,『공주군지』(全),공주군, 1957.
- 7공주시, 공주지명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 연구소, 1997.
- 8공주문화원,『공주의 민속』, 공주문화원, 1992.
- 9공주문화원부설향토문화연구소,『공주의 맥』,공주문화원, 1992.
- 10공주시지(2002). 충남: 공주시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