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eoretically and in a critical view what the interventionist of the economy and coercive system leads to. This paper tries to show why the big government cannot but fail and what bad effects it makes.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 a market economy system rests on the concept of the market failure. But this paper argues that on the contrary to what might be believed it cannot be the reason of government intervention and furthermore the concept is lack of clarity and based even on the wrong logics.
As soon as government intervenes in a market, conflicts are created, because each person or group may participate in a scramble to be a net gainer rather than a net loser.
The conflict appears also on the scene. Every economic order has mechanisms and institutions to allocate scarce resources. However the way of resource allocation is totally different between by the market and by the government. Clashes arise when the rule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mechanism or function in resource allocation, exist in a economy. It results in market distortion or less market coordination, resource waste, deterioration of the distribution problem, and frictions among social classes. Another reason why an intervention coercive system makes more serious problems is in the fact that we cannot charge the government failure and the politicians and officials commit corruptions and illegalities with the high prob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institution of marke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public services should sharply decline and we should retrospect the economic thoughts of the early classical and the Austrian school economis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시장경제질서에서 정부의 시장 개입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정부실패의 원인과 정부개입이 가져올 폐해와 부작용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정부 개입이 야기하는 시장의 왜곡, 질서충돌에 따른 계층 간의 갈등과 자원 낭비, 부정부패와 비리의 개연성, 분배문제의 악화, 그리고 책임소재의 부재 등은 비록 시장이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정부개입은 최소화해야 함을 말해준다. 정부의 개입은 가능한 모든 소비자가 동일하게 소비할 수 있는 순수한 공공재의 공급에 한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국방, 치안, 소방, 추상적이고 일반적이며 자명한 법제도의 구비 등이 그것들이다.
이것은 초기 고전적 자유주의자들과 오스트리아 학파를 중심으로 하는 구(舊) 자유주의자들의 생각과 그 괘를 같이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시장실패와 정부개입
1. 자원배분 실패
2. 분배 실패
3. 경기 안정화 실패
Ⅲ. 정부 실패의 원인
1. 이기적인 정치가와 관료의 속성
2. 선의(善意)의 정부에서 정부능력의 한계
Ⅳ. 경제질서 간의 충돌
1. 이분법적 사고에 의한 정부개입의 비판
2. 이분법적 접근에 의한 한국 교육정책의 비판
3. 이분법적 접근에 의한 사회적 요소 가미의 가능성
4. 구조론적 접근에 의한 정부 경제정책의 비판
Ⅴ. 정부개입의 폐해
1. 정부의 시장개입과 부정․부패 가능성
2. 정부개입에 의한 분배문제의 악화 가능성
3. 정부실패와 책임소재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