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印度의 舍利信仰과 主要 舍利莊嚴 類例 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igion of Sarira and Several Main Reliquary of Ancient India

인도의 사리신앙과 주요 사리장엄 유례 고찰

신대현

한국선학회 禪學(선학) 제19호 2008.02 pp.95-14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essay, I look into the sarira reliquary from India.
Sarira reliquary was known as death of a Buddhist saint, but it was originated from Indian Asoca King's 84,000 sarira. Indian sarira reliquary can be divided into sphere type, cylinder type, and stupa type by threir shape. The sarira box from Piprahwa Pagoda is a good example of the
sphere type. The Piprahwa Saria box was found in 1898 and was collected by Gandala museum. It was assumed that sarira box was enshrined in B.C. 4th century. It is one
of the oldest Indian sarira box. Also, the sarira box from the Drona sculpture in Kizil wall painting is another representative example of early Indian Sarira box. The cylinder type has couple of the examples; Sarira cases from Maya's Memorial of Loumbini, Kanisika Pagoda and
Kutsche area in Japan. We could not find bottoms and the stereobate unlike sphere type and stupa type. The cylinder type appeard in the Indian wall painting and relief so we
could estimate that it was typical type of Sarira case. stupa type sarira case is belong to admiration faith for stupa in India, so it represents architecture at that period.
It has important influence to China, Korea and other circumferences.

한국어

인도에서 사리신앙은 석가모니의 입적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석가모니 생전에도 그의 제자 중 사리불과 대목건련의 열반 뒤 그들의 유골을 탑에 안치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불교적 사리숭배는 석가모니 이전에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석가모니의 외에 과거불인 가섭불과 벽지불의 사리탑도 있었던 것은 사리신앙이 비단 석가모니의 사리에 의해서만 발전된 것은 아니라는 증거가 된다. 하지만 사리신앙의 주요 대상은 역사적 실재인물로서의 석가모니였음은 인도뿐만 아니라 한국, 중국 등의 주변 불교국가에서의 사리신앙을 통해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또한 석가모니 사리의 숭배는 비단 유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석가모니의 머리카락과 손톱을 봉안한 발탑, 조탑이 세워질 정도였다. 이는 다시 말해서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는 곧 석가모니의 존재 그 자체로 인식되었음을 알게 해준다. 석가모니
의 사리는 입적 후, 당시 8분되어 탑에 봉안되었다. 이 사리들은 나중에 아소카왕에 의해 개봉되어 다시 세분되어 인도 전역에 전파되었고, 이들 중 일부는 한국이나 중국 등지로 이안됨으로써 불교의 전파에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편 인도 초기의 사리장엄은 1세기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불상의 발생과 그 시기를 같이 한다. 이는 석가모니의 입적후 수 세기가 지나서야 불상이 등장함으로써 불교가 획기적으로 전파되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리신 앙에 힘입은 사리장엄의 유행은 불상과 마찬가지로 대중에게 불교를 홍포하는 수단으로써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인도의 사리장엄은 사리신앙과 더불어 한국과 중국 등지로 전파되어 각국의 사리장엄이 발전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釋迦牟尼 入寂 이전의 佛塔
  1. 佛弟子 塔
  2. 髮塔과 爪塔
 Ⅲ. 佛舍利 分配의 전설을 통해 본 舍利信仰의 발생 및 발전
  1. 불사리 분배의 전설
  2. 印度 佛舍利 신앙의 발전과 전파
 Ⅳ. 印度 舍利莊嚴의 특징
  1. 印度 舍利 容器의 발생
  2. 인도 사리장엄의 類例
 Ⅴ. 맺음말
 국문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대현 Shin, Dae Hyun.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