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퇴옹성철의 역할

원문정보

The Spirit of the Bongamsa Association and the monk Seongcheol's Role

서재영

한국선학회 禪學(선학) 제18호 2007.12 pp.11-6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945, under the banner of 'living like the Buddha's dharma' an association was formed at Bongamsa in Mungyeong. The Bongamsa association that heralded modern Korean Buddhism is a landmark event that produced four supreme patriarchs, seven presidents, and several illustrious monks of the Jogye order. This mean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played fundamental roles in developing modern Korean Buddhism.
They passed down the spirit and practic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as the spirit of the Jogye order, establishing it as universal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This study summarized the monk Seongcheol's role in forming the Bongamsa association as follows.
First the monk Seongcheol, along with Cheongdam, played a leading role in organizing the association at Bongamsa. But the monk Cheongdam failed to participate in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though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paring the foundation. Thus, the monk
Seongcheol led the organization and initial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Second,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principles of the association that tell people to 'live like the Buddha's dharma' beyond individual or group's temporary interests.
At the time,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married monks became mainstream. In addition, a variety of superstitions and non-Buddhist factors were prevalent across the nation. Therefore, in an effort to sweep away such inappropriate practices and restore dharma, he se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association called 'live like the Buddha's dharma'.
Third, the monk Seongcheol tried to restore degraded Dharma through strict rules of conduct called Gongjugyuyak. Gongjugyuyak which consists of 18provisions is the embodiment of the features of the Bongamsa association and vividly shows the way people practiced Buddhism at the time. Gongjugyuyak tightened the relaxed rules of Buddhism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share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with the public.
Fourth,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appropriate attitudes of monks to ceaselessly make efforts to gain enlightenment. At the time, lots of monks regarded performing a variety of rituals seeking blessing as their main role. This indicates monks were preoccupied with
administering rituals which were denied by Buddha. The monk Seongcheol tried to abolish all kinds of rituals to lead monks to discard the distorted attitudes of monks and establish themselves as proper followers.
Fifth,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unworldly image of the monk who was not disturbed by the value and order of the material world. That was because he believed every monk should dream of being liberated from an ongoing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nd be free of
the value and order of the material world. Based on this principle, he protected Buddhism from turbulent social situations and reestablished the spirit of Korean Buddhism.
Sixth, the monk Seongcheol restored the monk-farmer principle, under which monks were required to practice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work for food. Monks at Bongamsa refused donations made through rituals and did not receive rent income gained from the property of the
temple. Instead, they tried to follow the traditional way of Zen Buddhist practice to gain food by working or begging.
The spirit and tradition of the Bongamsa association became an opportunity to resuscitate the image of monk degraded by Japanese Buddhism an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Korean Buddhism. Furthermore, th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developed in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Jogye order, establishing itself as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한국어

봉암사 결사는 1945년 ‘부처님 법대로’라는 기치아래 문경 봉암사에서 행해진 스님들의 수행 결사를 말한다. 현대 한국불교의 서막을 열었던 이 결사는 4명의 조계종 종정과 7명의 총무원장을 비롯해 여러 명의 고승들을 배출한 기념비적 사건이다. 이는 봉암사 결사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현대 한국불교의 근간을 이루어 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수행전통은 이들에 의해 조계종의 종풍(宗風)으로 계승되면서 한국불교의 보편적 전통으로 확산되었다. 이 같은 의미를 지닌 봉암사결사에서 성철스님의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성철스님은 청담스님과 함께 봉암사 결사를 주도적으로 조직하였다. 청담스님 역시 봉암사 결사의 준비와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1947년 봉암사 결사가 출범할 당시에는 동참하지 못했다. 따라서 봉암사 결사를 조직하고 결사의 기틀을 잡은 것은 성철스님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둘째, 성철스님은 ‘전체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임시적 이익관계를 떠나서 오직 부처님 법대로만 살아보자’라는 것을 결사의 원칙으로 내세웠다. 당시 시대적 상황은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대처승(帶妻僧)들이 교단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갖가지 미신과 비불교적 요소들이 만연해 있었다. 성철스님은 이 같은 상황을 일소하고 정법(正法)을 회복하기 위해 ‘부처님 법대로’라는 사상적 원칙을 통해 봉암사 결사의 정신적 근간으로 삼았다.
셋째, 성철스님은 공주규약(共住規約)이라는 엄격한 수행규칙을 통해 쇠락한 불교의 교법을 복구시키고자 했다. 모두 18개 조항으로 구성된 공주규약은 봉암사 결사의 성격을 고스란히 담고있으며, 당시의 수행생활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공주규약은 헤이해진 승가의 규율을 바로잡고 결사의 정신을 대중들과 공유하는 근거가 되었다.
넷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를 통해 깨달음을 위해 매진하는 올곧은 수행자의 모습을 정립했다. 당시 승려들은 갖가지 기복적 의례를 행하는 것을 출가자의 중심적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부처님께서 부정하셨던 제사장의 역할에 매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성철스님은 각종 기복적 의례를 폐지함으로써 왜곡된 출가자의 이미를 혁파하고, 수행자 본연의 모습을 확립하고자 했다.
다섯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에 참여한 수행자들에게 세속적 가치와 질서로부터 초연한 탈속적 승가상을 확립했다. 출가자라면 누구나 생사윤회로부터 해탈하겠다는 원대한 꿈을 가져야 하며, 세속적 가치와 질서로부터 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정신적 원칙을 통해 시대적 혼돈으로부터 불교를 지켜내고 불교의 정신을 재정립했다.
여섯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를 통해 노동과 수행을 병행하는 선농일치(禪農一致)의 가풍(家風)을 되살렸다. 봉암사 대중들은 의례를 통해 얻어지는 시주물을 거부하고 사찰 소유의 토지에서 나오는 소작료도 거부했다. 대신 걸식과 노동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선종의 수행전통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상과 같은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전통은 왜색불교(倭色佛敎)로 인해 와해된 승가상을 다시 복원하고 한국불교의 정통성, 나아가 불교의 정통성을 확립해 내는 계기가 되었다. 나아가 이 같
은 결사의 전통은 조계종의 사상적 근간으로 수용되면서 현대한국불교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할 수다.

목차

1. 머리말
 2. 봉암사 결사의 성립과 퇴옹성철
  ① 해방공간의 격동과 불교
  ② 승풍진작 운동과 봉암사 결사의 조직
 3. ‘부처님 법대로’의 결사정신과 공주규약
  ① 결사의 정신: 부처님 법대로
  ② 결사의 규율: 공주규약(共住規約)
 4. 의례개혁과 승가상의 확립
  ① 의례승에서 본분납자의 길로
  ② 의례의 본질회복과 존경받는 승가
 5. 탈속적 수행자상과 간화선풍의 확립
  ① 탈속적 수행자상의 확립
  ② 간화선 수행가풍의 확립
 6. 자급자족과 선농일치(禪農一致)의 가풍
  ① 소작료 폐지와 자급자족
  ② 노동과 수행의 결합
 7. 맺음말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서재영 Seo, Jae-yeong. 조계종 불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