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Lesson composition of the new citizenship education theory which leads critical teaching methods
초록
영어
The social-studies lesson to citizenship education is carried out only to the receptiveness
over a curriculum from an uncritical passive standpoint until now. The core of the main article is a right understanding and lesson application of a counter-socialization through critical teaching methods. The critical teaching methods escape from the category of the right study understanding from the social custom and tradition which are the simple function of socialization, and a norm at the dimension of a development of simple critical thinking.
Therefore, that indicate some questions that how all the social categories which are objectified were constituted and operated to children, abilities of independence and decision-making that can solve that questions democratically and rationally, and alternatives extending agreement-formation -capability.
Also, aiming at a scientific social recognition mainly, that take notice of a direct support to constitute rational thoughts added a part of the value-recognition.
In other words, the lesson composition of social studies aiming at rational thought formation, elucidates interpretations based on social science and others' evaluations of those interpretations. And then, by evaluating the judgement itself through own sense of value, that can right a learner's, or student's value and consist of promotions to the reformation of a rational thoughts.
한국어
지금까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사회과수업은 무비판적 수동적 견지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수용성에만 몰입해 온 감이 없지 않다. 본고의 핵심은 비판적 교수법을 통한 대항사회화의 올바른 이해와 수업적용이다. 비판적 교수법은 단순한 비판적 사고함양이라는 차원에서 떠나 사회화의 단순기능인 사회관행과 전통, 규범을 올바른 학습이해의 범주에서 벗어나, 사회를 대상화하여 아이들에게 대상화된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범주를 의구심과 왜 그렇게 구성되었고 운영되는지에 대한 물음이다. 그리고 이를 민주적․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자립성과 의사결정, 합의형성 능력을 신장하는 대체방안까지 제시하였다.
또한, 과학적 사회인식을 주된 목표로 하면서 가치인식 부분까지 합쳐 합리적인 사상형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지원하는데 착안하였다. 즉, 합리적 사상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의 수업구성은 사회적 문제에 관하여 사회과학에 기초한 해석과 그것에 대한 평가를 내린 다른 사람의 판단을 음미하면서 평가하는 가치관이 어떤 것인가를 해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판단자체를 자신의 가치관에 기초해서 평가함으로써 학습자자신의 가치관을 바르게 할 수 있고, 보다 합리적인 사상의 재형성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목차
Ⅰ. 민주시민교육의 제문제
Ⅱ. 민주시민교육(Citizenship Education)의 기본원리와 방법원리
1. 민주시민교육의 기본원리
2. 민주시민성교육의 방법원리
Ⅲ. 민주시민교육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수업구성의 문제
Ⅳ. 비판적 교수법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구성과 설계
1.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의 새로운 대응모색
2. 수업구성에서의 비판적 교수법의 형태
3. 수업구성의 설계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