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성불(成佛)과 위성(爲聖)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o be a Man'(Confucianism) and 'To be a Buddhist Saint'(Buddhism)

유흔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a very meaningful work that studies the ideal state of human being in both Neo-Confucianism and Zen of Buddhism within the comparative perspective. On one hand,
Neo-Confucianism ultimately aims at a state of being a Man(;being a moral saint) through the cultivation and the continuos learning of himself. On the other hand, Zen's thoughts in China aims at the presentative completeness of being a Buddhist saint(;being a state of Buddha himself). The idea of this presentative completeness in being couldn't be ever found in
originally existing Buddhism of India so far. This great idea could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on Buddhism, when it came inside into China and
the conventional thoughts in China.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a state of being a Man as the ideal image and a state of being Buddhist saint, in that Confucianism never goes beyond the correlational tie of sociality
while Buddhism carries on the religious dimension of its isolated nature in the first place. This feature would be brought up by the different opinions on the nature of human being each other.
That is to say, Zen's thoughts rest on a firm basic idea of the commonness in all things of the universe similar to Taoism, meanwhile Confucianism pays intensive attention on human being's own peculiarity. Therefore, Zen in Buddhism pursues the discussion about human nature within the possible sphere while Neo-Confucianism regards human nature as something that can
be firmly determined with value sets. According to these different viewpoints, it is absolutely natural that there are differential ways of realization and its results in human nature.
This paper aims at the introspection in Neo-Confucianism in order to figure out its possible access towards Contemporary New-Humanism;(Neo-humane studies). For this general purpose, it compares the concepts of oneness in between Heaven;‘Tian’ (天) and Human;‘Ren’(人) with the several perspectives in Zen's thoughts. In addition to this procedure, carefully negating the general existing viewpoint on that Confucius's thoughts and Mencius's had been originally taken as the idea of oneness in between ‘Tian’(天) and ‘Ren’(人), this paper begins to look closely into the key point of Confucian as the tensive correlation of the subjective free will with Tianming(天命) that indicates the objective necessity and the inevitable fate as well as fortune.
This effort in this paper makes it possible to put an emphasis on the essential feature of Contemporary New-Humanism;(Neo-humane studies) in that there are human being's free will and subjectivity.

한국어

신인문학을 정초하는데서 신유학과 선불교의 이상 인격을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신유학은 수양과 공부를 통해 성인(聖人)이 되는 것을 철학의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반면 중국 선불교는
부처(佛)를 현성(現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처의 현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본래 인도불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사상으로 불교가 중국에 들어와 유학(儒學)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결과로 형성된 사상이
라 할 수 있다.
유학의 이상인격인 성인(聖人)과 불교의 부처(佛) 사이에 놓여 있는 가장 큰 차이는, 유학의 성인은 끝까지 사회성 차원을 떠나지 않는 반면 부처는 ‘고독성’이라는 종교 차원이 우선이라는 점에 있다. 이는 인간의 본질에 관한 서로 다른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바, 중국 선불교는 노장(老莊)의 도가와 마찬가지로 만물의 공성(共性)에 기초하지만 유학은 인간의 고유성을 주목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선불교는 인간의 본질·본성을 가능성 차원에서 논의하지만, 신유학은 가치적으로 확정된 어떤 것으로 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간 본질의 실현 방법이나 그 결과가 다르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신유학에서 신인문학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된 것이다. 이를 위해 신유학의 천인합일론을 전제로 중국 선불교와 여러 관점을 비교하였다. 또 공자와 맹자의 철학이 본래부터 천인합일적 이었다는 일반적인 생각을 부정하고, 운명 내지 객관필연적 추세를 의미하는 천명(天命)과 인간의 주체 자유 역량을 대비시키는 것에 공자·맹자 철학의 핵심이 있다는 점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신인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인간의 주체와 자유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공자와 맹자의 천명(天命) · 인력(人力) 불관통론
 3. 인성(人性)과 불성(佛性)
 4. ‘작용시성’(作用是性)과 유가의 비판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흔우 Yoo, Heun-Woo. 동국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