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어
독일과 한국은 산학연 공동의 기술개발과 상품화를 추구하는 기술개발이라는 동일한 정책수단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는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경제정책의 효과는 정책수단의 효율적인 선택과 더불어서 정책수립의 절차에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공적자원에서 끊임없는 논의되고 있는 moral harzard는 각각의 경제주체가 자기이익을 추구하는 경제인이라는 가정에서 미리 예상하여 예방할 수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최소한의 견제 가능성을 확보하고 절차와 원칙에 대한 합의가 효율적인 정책수단의 선택보다도 먼저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정책지원의 원칙이 설정 된 후에 구체적인 지원방법의 논의와 예상되는 효과를 분석하여, 상호보완적이지만 경제질서가 우선하는 기술혁신지원정책을 시행 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