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농민군의 대외 인식 - 대일관·대청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Donghak Peasant Army's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

배항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the beginnings of Korea's opening to the West, Korean people's view of Japan and that of Qing(淸) had been influenced by the relations with these two big powers at that time, and by the inherited memories about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Manchurian invasion of 1636.

On the point of later nineteen century, when Korean people felt they were trespassed by neighboring powers, their anxiety soon shifted to hostility to Japanese due to their historical experience of Japanese invasion of 1592.

This hostility to Japanese had been intensified by the Japan's continual invasive actions, and the Coup d'e-tat of 1884 by Progressive Party supported by Japan made this feeling firm, and it soon moved to the hostility to the Progressive Party and enlightenment itself.

On the other hand, anti-Manchurian feelings were not comparatively hostile.

Donghak Peasant Uprising is a good example. Donghak Peasant Army raised its voice up against the Japanese and westerners, but it was not so opposed to Qing.

And the more, Peasant Army never suspected Manchurians' invasive intention, and even looked up them as an allied power to restrain Japanese power. Japanese invasive action and much more fixed anti-Japanese feelings had made Peasant Army prefer Manchurian force to Japanese one. But as a matter of fact, Manchurian force was only another threatening factor to Korea, and not less than Japanese one. This misjudgment showed that Peasant Army's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 was prejudiced and distorted.

But in the process of Donghak Peasant Uprising and Sino-Japanese war(1894), Korean people themselves had gone through hardships caused by two forces' military actions in the flesh. and this experience made Korean people break from the conventional attitudes, toadish pro-Manchurian mentalities based on sino-centralism and deep-rooted anti-Japanese feelings based on cultural chauvinism.

한국어

개항 이후 민중의 대일관과 대청관은 개항 이후 전개된 대일, 대청 관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과 관련하여 전승되어온 기억과도 관련이 있었다. l9세기 후반 대외적 위기의식에 매개되어 임진왜란을 비롯한 역사적 경험과 결합된 대일 적대감을 이미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적대감은 개항 이후 일본의 침략 행위가 이어지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특히 갑신정변 이후에는 일본과 연결된 개화당과 개화에 대한 적대감으로까지 연결되었다. 반면에 반청의식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이 점은 동학농민전쟁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동학농민군은 斥倭·斥洋을 주장하였지만, 청에 대한 반대구호는 제기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농민군은 청의 침략성적 의도를 의심하지 않았고, 그들을 일본을 물리치는 연합세력으로 이해하였다. 이는 일본의 침략행위와 반일의식의 강화에 따른 반사효과라는 측면이 강하였다, 거란 임오군란 이후 청의 대조선정책과 그에 기반한 정치적 경제적 횡포와 침탈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농민군의 대외인식이 불구적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의 전개과정에서 조선민중들은 청나라와 일본 군대의 행동양태 등을 통해 청과 일본을 구체적으로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민중들은 화이론적 세계관의 연장선에 있는 사대주의적 친청의식과 문화적 우월주의에 입각한 대일 적대감의 구각을 탈피해가가기 시작했다.

목차

요약문
 머리말
 1. 개항 이전의 대일ㆍ대청관
 2. 개항 이후의 대일ㆍ대청관
 3. 동학농민전쟁 당시의 대일ㆍ대청관
 4. 동학농민전쟁ㆍ청일전쟁과 대일ㆍ대청관의 변화
 맺음말 : 대외관과 근대민족운동의 전개양상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항섭 Bae, Hang-Sub.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