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Sculptures of early 17th Century made by Huijang and his School
조선후기 17세기 조각승 희장과 희장파의 조상
초록
영어
It already began in India, Mathura and Gandhara, at the early time of the origination of the Buddhist statue to record the name of a statue, the time of its creation, and the name of the contributor or of the sculptor, Since Song dynasty in Chinese history there had arose a custom that hidden stuffs imitating human organs were put into the inner side of a Buddhist statue. This custom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Goryeo dynasty but it was transformed into very abstract and symbolic style instead of imitating human organs and continued to Joseon dynasty.
This was based on Josanggyeong, which was complied by collecting rituals related to making buddhist statues. Thus, since Buddhist statues in late Joseon have very typical hidden stuffs and praying statements, we can get information about their creation such as the names of sculptors and contributors as well as the times of production. We have come to be able to correctly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mode of the Buddhist statue through those sculptures that enable us to recognize the sculptors and times of production, and to explain the changes of trends in individual sculptors' works and the formations and transformations of sculptor factions. Also, since praying statements contain the name of almost every Buddhist personnel, we can get much further access to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contributors, sculptors, and pieces of work.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orks by a monk sculptor Huijang(熙藏) and his school, which have been known from the praying statements in hidden stuffs of some Buddhist statues in the 17th century. Huijang, active in the middle and late 17th century, was an artist who ever left the most numerous works together with such important monk sculptors as Hyeonjin(玄眞), Muyeom(無染), and Unhye(雲惠) etc. All of whom took part in the activities of reconstructing Buddhist temples after the end of the Korean-Japanese War in 1592. Most of the existing works by Huijang are proved to be made of wood, which are weighty and decent, have faces and bodies with richer volume, and are expressed plainly and concisely with shallow dress folds. In reconstructing bodies, he trimmed the lateral sides very thickly to try to express the statues' stability and existential feelings. The dress folds appearing on ① the right chest, ② the left knee, ③ the groin are important properties that manifest themselves as works by Huijang's school.
한국어
임진왜란(1592~1598)으로 인하여 폐허로 변한 사찰은 17세기에 대부분 재건되었으며, 불상(佛像)도 이시기에 대대적으로 조성되었다. 고려시대 후반 이후에 조성된 불상들에는 대부분 불상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주술적인 의미의 신성한 물건들을 안치하였는데, 이와 함께 불상 제작과 관련된 여러 사람들의 이름을 기록한 발원문(發願文)도 봉안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고의 대상인 희장(熙藏)은 17세기 불상의 복장발원문를 통하여 새로이 알려진 조각승(彫刻僧)으로, 17세기 후반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인물이다. 그의 휘하에서 함께 공동으로 불상조성 작업에 참여한 조각승들은 대략 20여 명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동일한 조각 양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희장파(熙藏派)라 부를 수 있다.
희장은 현재 알려진 기록에 의하면, 1639년부터 1661년까지 약 20년간 불상을 조성하였다. 희장은 17세기 초반에 활동한 청헌(淸憲)과 승일(勝一)로부터 수련을 받은 듯하며, 수련기 동안 습득한 청헌파의 작풍은 희장의 말년에 이르기까지 그가 만든 불상 속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희장이 조성한 불상들에는 청헌, 승일의 요소 외에도 자신의 독창적인 작풍이 더해져 전혀 새로운 모습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희장의 작품가운데 불상과 보살상만을 셈하여도 모두 19건 43점에 이른다. 이중에 복장발원문을 통하여 제작 년대와 조각승의 이름이 명확하게 드러나 있는 불상은 4건 11점이며 나머지 14건 30점은 양식분석을 통해 희장이 조성한 불상으로 추정한 것이다.
현존하는 희장의 불상은 모두 목조각품으로 확인되었는데, 중량감 있고 단정하며 양감이 풍부한 얼굴과 몸집을 갖고 있으며, 옷주름은 깊이가 얕고 평면적이며 간략하게 표현된 특징이 있다. 몸체를 재현하는데 있어 측면의 두께를 매우 두텁게 처리하여 불상의 안정감과 실재감을 극대화 한 점도 중요한 특징이다.
목차
I. 序論
II. 熙藏의 전반기작품
1. 熙藏의 修練期(1630~40년대)
2. 1640ㆍ50년대
III. 熙藏의 중반기작품
1. 1660년대 전반
2. 1660년대 후반
3. 1670년대
IV. 熙藏 제자들의 작품
1. 惠淨
2. 寶海
VI. 結論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