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상교육 총설

임신성 당뇨관리와 출산 후 비만 예방을 위한 운동 요법

원문정보

Exercise for managemen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postpartum care

배윤정, 손지은, 이대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widely increased rat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because of many women participated social work, increased stress level and lack of exercise, thus lated labor
period. As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increases worldwide, more women are developing diabetes in their childbearing years. The incidence of GDM doubled between the 1994 and 2002. Pregnancy is characterized by a hyperinsulinemic state and a decrease in insulin sensitivity.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s defined as glucose intolerance that begins, or is first recognized, during pregnancy. Most case, gestational diabetes recovered postpartum period, but have shown future type 2 diabetes. Moderate exercise(20minutes, 3days/week) are effective in weight control and glucose control. Acute exertion and exercise training have well-characterized effects on control of blood glucose that may all have a salutary effect on glucose intolerance of pregnancy and GDM. In patients associated with wide range of complication. For the mother, gestational diabetes increases the risk of abnormal bleeding, and poor fatal growth. Weight control during postpartum very important that prevention for postpartum obesity and future type 2
diabetes. In the future study need to exercise temperature, hydration level, exercise protocol for each pregnancy period and insulin therapy.

한국어

최근 여성들은 출산연령의 증가와 사회적 활동 참여로 인한 스트레스의 증가, 운동부족으로 인한 과체중 등의 원인으로 임신성 당뇨의 발병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임신성 당뇨의 발병률이 1994년도에 조사된 발병률에 비해 2002년도에는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을 알수 있다. 임신 동안에는 고인슐린혈증 상태가 나타나고 인슐린의 민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임신성 당뇨란 임신 동안에 글루코스의 불내성이 시작되었거나, 이를 처음으로 신체가 인지한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출산 후에는 대부분 회복되기도 하지만, 출산 이후에도 제 2형 당뇨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임신기간 동안에 일일 20분 정도의
운동을 중정도의 강도로 주 3일씩 규칙적으로 실시한다면 체중 조절의 효과 뿐 만 아니라 혈당의 조절능력도 향상시키게 된다. 임신 중 운동의 효과에 대해서는 단기간의 운동에 대한 효과와 장기간의 운동에 대한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있다. 임신성 당뇨환자가 운동을 실시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은 매우 많다. 특히 임신부들에게 운동은 비정상적 출혈이나 저체중아 출산과 같은 부작용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 깊게 관찰되어야 한다. 출산 후 체중관리는 임신성 당뇨가 제 2형 당뇨로 진행될 가능성과 산후 비만을 예방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임신성 당뇨에 관한 운동의 효과를 검증함에 있어서 이후의 연구에서는 운동 환경에 대한 적정 온도, 수분의 섭취, 인슐린처치와의 상호작용, 준비, 정리운동의 프로토콜 등의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초록
 서론
 임신성 당뇨의 원인과 위험
 임신성 당뇨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단기간 운동에 대한 임신성 당뇨관리 효과
 장기간 운동에 대한 임신성 당뇨관리 효과
 운동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점검 사항
 출산 후 체중 관리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배윤정 Bae, Yun-Jung. 국민대학교
  • 손지은 Sun, Jee-Un. 국민대학교
  • 이대택 Un․Lee, Dae-Taek. 국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