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머리말
I. 일상성과 사회적 공간
1. 브로델과 르페브르의 일상
2. 르페브르와 푸꼬의 공간
3. 사회적 공간의 관련이론
II. 청량리 지역의 개괄
4. 조선시대와 일제 강점기 시대의 청량리
5. 근현대의 청량리
6. 청량리 시장의 역사적 개괄
7. 청량리 588 유곽의 역사적 개괄
8. 청량리 지역의 재개발
9. 연구대상지 소개
머리말과 I, II장 인용문헌
제1부 청량리 사람들의 일과
III. 일과조사의 과정
10. 조사방향
11. 조사방법
12. 조사양식
IV. 18인의 일과
13. 18인의 개요
14. 주상혼용지역 일과 사례들
15. 경동 약령시장지역 일과사례들
16. 청량리 수산ㆍ청과물 시장지역 일과사례들
17. 일반주거지역 일과 사례들
18. 공동주택지역 일과사례들
19. 재개발사업 예정지역 일과사례들
20. 유곽지역 및 부랑자 일과사례들
21. 일반상업 및 업무지역 일과사례들
V. 일과의 사문화적 함의
22. 일과의 구조
23. 일과의 사례적 특성
24. 일과의 공간적 범위
25. 직주근접의 일과
26. 이웃간의 유대와 일과
27. 주거문화를 담는 용기
28. 일과의 고정성
29. 일과와 텔레비전
30. 일과와 이데올로기
31. 일과의 연구적 가치
제1부 인용문헌
제2부 청량리 시장
VI. 시장의 현지조사
32. 조사개요
33. 청량리 시장의 현황
34. 청량리 재래시장의 토지이용
35. 청량리 재래시장의 옛 모습
VII. 3인의 생애사
37. 김귀네 할머니 생애사
38. 김귀네 할머니 가족
39. 김귀네 할머니 일과
40. 이덕례 아주머니 생애사
41. 이덕례 아주머니 가족
42. 이덕례 아주머니 일과
43. 만남의 집
44. 최씨의 생애사
45. 최씨의 가족
46. 최씨의 일과
VIII. 시장공간의 본질과 진화
47. 공공공간의 특성
48. 중세의 베스타드
49. 재래시장의 상인
50. 도심 상업공간의 쇠락
51. 교외 쇼핑센터의 비인간성
52. 재래상업 공간의 부활
53. 시장과 쥬킨의 시장 공동체
54. 지배계급과 시장공간
55. 청량리 재래시장의 공간적 의의
제2부 인용문헌
제3부 청량리 588 유곽
IX. 유곽의 현지조사
56. 조사개요
57. 588 유곽의 현황
58. 588 유곽의 토지이용
59. 588 유곽 건물 유형
60. 유곽 종사자들
61. 유곽여인들의 개요
62. 588 유곽 체험기
X. 윤가연의 생애사와 링과
63. 윤가연 생애사
64. 윤가연의 유곽생활
65. 윤가연의 일과
XI. 유곽공간의 의의와 변천
66. 매춘의 기원
67. 일제 강점기 시대의 매춘
68. 일본의 매춘문화
69. 한국 매춘의 존속성
70. 매춘과 이중규범
71. 성의 억압과 매춘
72. 권력과 매춘
73. 푸꼬와 벌로 부부의 매춘관
74. 588 유곽의 공동체적 의의
제3부 인용문헌
XII. 마무리 말: 공간과 일상
75. 연질의 삶
76. 삶의 수직적 깊이
77. 삶과 공간의 동반관계
78. 차이적 공간과 공동체
마무리 말 인용문헌
부록
i. 50인의 일과요약
ii. 일과조사 양식(Daily Life Record III, IV)의 예
iii. 일과조사 (1차 본조사)의 질문사항
iv. 나머지 32인의 일과 서술
1. 주상혼용지역 일과들
2. 청량리 시장지역 일과들
3. 공동주택지역 일과들
4. 재개발사업 예정지역 일과들
5. 왕산로변 일반상업 및 업무지역 일과들
6. 청량리지역 방문자 일과들
인명 색인
주제어 색인
I. 일상성과 사회적 공간
1. 브로델과 르페브르의 일상
2. 르페브르와 푸꼬의 공간
3. 사회적 공간의 관련이론
II. 청량리 지역의 개괄
4. 조선시대와 일제 강점기 시대의 청량리
5. 근현대의 청량리
6. 청량리 시장의 역사적 개괄
7. 청량리 588 유곽의 역사적 개괄
8. 청량리 지역의 재개발
9. 연구대상지 소개
머리말과 I, II장 인용문헌
제1부 청량리 사람들의 일과
III. 일과조사의 과정
10. 조사방향
11. 조사방법
12. 조사양식
IV. 18인의 일과
13. 18인의 개요
14. 주상혼용지역 일과 사례들
15. 경동 약령시장지역 일과사례들
16. 청량리 수산ㆍ청과물 시장지역 일과사례들
17. 일반주거지역 일과 사례들
18. 공동주택지역 일과사례들
19. 재개발사업 예정지역 일과사례들
20. 유곽지역 및 부랑자 일과사례들
21. 일반상업 및 업무지역 일과사례들
V. 일과의 사문화적 함의
22. 일과의 구조
23. 일과의 사례적 특성
24. 일과의 공간적 범위
25. 직주근접의 일과
26. 이웃간의 유대와 일과
27. 주거문화를 담는 용기
28. 일과의 고정성
29. 일과와 텔레비전
30. 일과와 이데올로기
31. 일과의 연구적 가치
제1부 인용문헌
제2부 청량리 시장
VI. 시장의 현지조사
32. 조사개요
33. 청량리 시장의 현황
34. 청량리 재래시장의 토지이용
35. 청량리 재래시장의 옛 모습
VII. 3인의 생애사
37. 김귀네 할머니 생애사
38. 김귀네 할머니 가족
39. 김귀네 할머니 일과
40. 이덕례 아주머니 생애사
41. 이덕례 아주머니 가족
42. 이덕례 아주머니 일과
43. 만남의 집
44. 최씨의 생애사
45. 최씨의 가족
46. 최씨의 일과
VIII. 시장공간의 본질과 진화
47. 공공공간의 특성
48. 중세의 베스타드
49. 재래시장의 상인
50. 도심 상업공간의 쇠락
51. 교외 쇼핑센터의 비인간성
52. 재래상업 공간의 부활
53. 시장과 쥬킨의 시장 공동체
54. 지배계급과 시장공간
55. 청량리 재래시장의 공간적 의의
제2부 인용문헌
제3부 청량리 588 유곽
IX. 유곽의 현지조사
56. 조사개요
57. 588 유곽의 현황
58. 588 유곽의 토지이용
59. 588 유곽 건물 유형
60. 유곽 종사자들
61. 유곽여인들의 개요
62. 588 유곽 체험기
X. 윤가연의 생애사와 링과
63. 윤가연 생애사
64. 윤가연의 유곽생활
65. 윤가연의 일과
XI. 유곽공간의 의의와 변천
66. 매춘의 기원
67. 일제 강점기 시대의 매춘
68. 일본의 매춘문화
69. 한국 매춘의 존속성
70. 매춘과 이중규범
71. 성의 억압과 매춘
72. 권력과 매춘
73. 푸꼬와 벌로 부부의 매춘관
74. 588 유곽의 공동체적 의의
제3부 인용문헌
XII. 마무리 말: 공간과 일상
75. 연질의 삶
76. 삶의 수직적 깊이
77. 삶과 공간의 동반관계
78. 차이적 공간과 공동체
마무리 말 인용문헌
부록
i. 50인의 일과요약
ii. 일과조사 양식(Daily Life Record III, IV)의 예
iii. 일과조사 (1차 본조사)의 질문사항
iv. 나머지 32인의 일과 서술
1. 주상혼용지역 일과들
2. 청량리 시장지역 일과들
3. 공동주택지역 일과들
4. 재개발사업 예정지역 일과들
5. 왕산로변 일반상업 및 업무지역 일과들
6. 청량리지역 방문자 일과들
인명 색인
주제어 색인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