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대 영어의 부사적 연결사 pa 의 담화적 기능

원문정보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particle pa in Old English

김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Abstract
 1. 서론
 2. corpus
 3. 전경화의 핵심 자질들과 이 자질들이 pa절에 실제로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한 test
  3.1. 전경화 구문은 주어가 높은 주제성을 보이며, 따라서 주어는 이미 알려진 정보(old information)을 포함한다.
  3.2. pa가 전경화 표지이미로 담화 unit의 첫 문장은 pa로 시작할 수 없다.
  3.3. 전경 구문에서 이야기의 전개는 시간축상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의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며 시간상의 뒤틀린 전개는 있을 수 없다.
  3.4. 전경 구문에서 나타나는 동사들의 Aktionsart는 靜的(stative), 지속적(durative)이기보다는 행동적(active), 순간적(punctual)이다.
  3.5. 전경절에서는 주요주제로 3인칭 대명사보다는 1인칭 대명사가 많이 쓰인다.
  3.6. 전경절의 주요 주제는 [+human, +animate]의 자질을 가진다.
  3.7. 전경절에서의 동사는 irrealis이기보다는 realis이다.
 4. 변환 표지(shift marker)로서의 pa
  4.1. 주제 변환(topic shift)
  4.2. 주제 변환보다 더 높은 범주의 담화 변환
 5. 결론
 6. 예문 text
 내용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태진 Kim, Taejin. 한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