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秋史 金石學의 再照明 - 史的 ‘考證’ 문제를 主眼目으로 -

원문정보

Reinterpretation of Chusa(秋史)'s Epigraphy - Centered on the issued of a historic 'research'

추사 김석학의 재조명 - 史的 ‘고증’ 문제를 주안목으로 -

崔英成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제29집 2007.12 pp.227-27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usa Kim Jeong Hee has a firm his position in the epigraphy history of Korea. Epigraphy was an undeniable study to be well-served to him. Based on the two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and site investigation, he has developed from existing bibliographical level of the epigraphy of Chosun up to the level of a sort of ‘learning.’But regarding Chusahak, especially, his achievement of epigraphy, it seems that no one has raised any questions. Whenever referring to him, we could see ‘the first’ or ‘the oldest’ words accompanied with him. Now it is time to study his ‘real nature’ more objectively. Considering this, in this study, I recounted the performances made by Chusa for epigraphy and in particular, I tried to get away from mainly existing praise towards him as possible and show true and objectiv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along with correcting something that has been misunderstood. And for discussions, I focused on questions, does the Chusa’s epigraphy have ever nothing to do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s made by his predecessors? and what is the limit of the Chusa’s epigraphy?

한국어

우리나라 금석학사에서 추사 김정희는 부동(不動)의 위치에 있다. 추사에게 금석학은 엄연히 하나의 문호를 수립한 학문 영역이었다. 추사는 고증학적 연구 방법과 현장 조사를 두 축으로, 종래 해제(解題) 정도에 머물던 조선 금석학의 수준을 ‘학’의 단계에까지 끌어 올렸다. 그러나 추사학, 특히 추사 금석학의 경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신성불가침’의 두터운 보루가 깔려 있다. ‘최초’니 ‘최고(最高)’니 하는 것들이 추사 금석학을 논한 글들에 따라 붙는 수식어들이다. 이제는 추사의 ‘참모습’을 객관적으로 보아야 할 때가 왔다고 본다. 이 글은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추사의 금석학 연구 성과를 재조명하려 하였다. 특히 지금까지 잘못 알려진 것을 바로잡고 칭송 위주의 서술에서 탈피하여, 추사의 금석학 연구 성과의 참 모습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추사의 금석학은 과연 조선의 선배 학인들이 이룩한 학문적 성과와는 무관한 것인가, 추사 금석학의 한계는 무엇인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I. 문제제기
 II. 『金石過眼錄』과 秋史自編說
 III. 북한산 순수비와 관련된 문제 二則
  1. 북한산비와 추사의 예비적 지식
  2. 북한산비 건립 연대에 대한 고증
 IV. 金陵珍 ‘撰幷書’의 鍪藏寺碑
 V. 재발견한 문무왕비의 건립 연대
 VI. 창림사 寫經 및 평양성 고구려 石刻의 고증
 VII.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崔英成 최영성. 국립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