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중국어
本論文闡明了淸代四大流派詩論對它派詩論的闡釋和接受。 首先從時代精神和審美趣向兩個方面對四大流派詩論所産生的時代背景進行了具體地考察, 通過探討的結果, 可知神韻說反映了康熙在位時古澹閑遠的審美情趣, 格調說則反映了乾隆在位時歌功頌德的政治需要, 性靈說則反映了一些知識分子反對道學和肯定情欲的觀點, 肌理說則反映了學術界重視學問考證和六經的義理。 王士禎的神韻說主要針對明朝前後七子的格調說進行了闡釋, 他之所以反對明朝前後七子所强調的雄渾壯闊的高格, 正是因爲尊崇言外之意和淸遠沖淡的意境。 同時神韻說爲了加强自己詩論的系統, 接受了與它無關的性情和學問。 沈德潛的格調說主要針對王士禎的神韻說進行了闡釋, 他之所以批評王士禎神韻說的淸遠沖淡之意境, 正是因爲他要把雄渾壯闊的高格重新恢復起來, 進而達到中正和平的理想境界。 同時格調說爲了加强自己詩論的系統, 接受了與它無關的神韻。 袁枚的性靈說主要針對沈德潛的格調說和翁方綱的肌理說進行了闡釋, 他之所以批判的這兩個詩論, 正是因爲他反對詩歌拘泥於儒家的禮敎和以學問爲詩的創作傾向, 而重視表現眞實感情和獨創個性。 同時性靈說爲了加强自己詩論的系統, 接受了與它無關的神韻。 翁方綱的肌理說主要針對王士禎的神韻說和沈德潛的格調說進行了闡釋, 他之所以批判的這兩個詩論, 正是因爲他認爲這兩個詩論只是空言而沒有實際上的根據, 進而重視使用學問考證的方法以儒家的倫理道德和日常生活爲詩歌內容。 同時肌理說爲了加强自己詩論的系統, 接受了與它無關的神韻和格調。
목차
1. 서론
2. 타파 시론에 대한 해석의 동기로서 시대정신과 미의식
2.1. 탈속한 정석와 자연산수 애호 취향
2.2. 태평성세의 옹혼한 기상과 유가 교화
2.3. 예교 구속의 반대와 정감이 긍정
2.4. 고증학풍과 육경의 의리 중시
3. 타파 시론에 대한 해석의 의도와 수용의 양상
3.1. 신운설
3.2. 격조설
3.3. 성령설
3.4. 기리설
4. 결론
參考文獻
中文摘要
2. 타파 시론에 대한 해석의 동기로서 시대정신과 미의식
2.1. 탈속한 정석와 자연산수 애호 취향
2.2. 태평성세의 옹혼한 기상과 유가 교화
2.3. 예교 구속의 반대와 정감이 긍정
2.4. 고증학풍과 육경의 의리 중시
3. 타파 시론에 대한 해석의 의도와 수용의 양상
3.1. 신운설
3.2. 격조설
3.3. 성령설
3.4. 기리설
4. 결론
參考文獻
中文摘要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