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마시기(drinking) 동작의 근활성도와 운동형상학 분석

원문정보

Muscle Activity and a Kinematic Analysis of Drinking Motion

윤성용, 이택영, 박소연, 이진복, 김장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ask of drinking a glass of water through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and electromyogram (EMG).
Methods : Thirty healthy young adul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task of drinking a glass of water in a sitting position. During the task, the time, range of motion, and velocity of upper extremity movement were measured using VICON MX SYSTEM, and the muscle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MP-100.
Results : The results show a maximal adduction of the shoulder and an extension of the elbow during the glass-holding phase. There were a maximal flexion, abduction of the shoulder, and maximal flexion of theelbow during the drinking phase. During the reaching phase, the shoulder angl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elbow angle (r=-.904, p<.05), the shoulder angle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 wrist angle (r=.722, p<.05), and the elbow angle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 wrist angle (r=-.700, p<.05). During the forward transport phase, returning phase, drinking phase, and reaching phase, the upper trapezius (7.31%), biceps brachii (1.60%), triceps brachii (.43%), deltoid middle fiber (1.33%), and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2.20%) showed the highest muscle activiti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eople with neurological conditions who experience upper extremity weakness for their most-efficient movement patterns during vario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s may lead to an effec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reatment plan, and better client satisfactio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정상성인남성의 마시기 동작을 표면근전도와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통하여 상지 움직임에 대한 계량적(운동형상학: kinematics, 근활성도: muscle activity) 자료를 수집하여 마시기 과제 수행 시 운동 패턴과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젊은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삼차원동작분석기(VICON MX System)와 근전도기(MP-100)를 이용하여 마시는 동작의 관절가동범위, 속도,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물 마시기 수행 중 컵을 잡는 동안 어깨에서 최대 내전과 팔꿈치의 최대 신전이 나타났고, 마시는 동안 어깨에서는 최대 굴곡 및 외전이 팔꿈치에서는 최대 굴곡이 나타났다. 뻗기 단계에서 각 관절의 각도 변화에 대해 피어슨상관계수(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한 결과 어깨와 팔꿈치사이에서 (r=-.904), 어깨와 손목사이에서(r=.722), 팔꿈치와 손목사이에서(r=-.70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5). 입으로 가져오기 단계에서는 위쪽등세모근(7.31%)과 위팔두갈래근(1.60%)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정리하기, 마시기, 뻗기 단계에서 각각 위팔세갈래근(.43%), 중간어깨세모근(1.33%), 긴노쪽손목폄근(2.20%)에서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중추신경계 및 근 골격계 환자의 치료 계획 및 치료 전략을 설정 시 적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적 중재 후 상지 움직임 향상에 대한 평가의 기초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및 방법
  3. 측정 자세와 진행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연구대상자의 운동형상학(kinematic) 변화
  3. 연구대상자의 근활성도 변화
  4. 마시기 과제 수행 시 관절각도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성용 Yun, Sung-Yong. 한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이택영 Lee, Taek-Young. 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소연 Park, So-Yeon. 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진복 Yi, Jin-Bock. 한서대학교 의료보장구학과
  • 김장환 Kim, Jang-Hwan. 한서대학교 의료보장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