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행 과제의 특성에 따른 정신훈련과 실제훈련의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Using Motor Imagery Through Target Aiming Task and Serial Reaction Time Task

박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Motor learning can be processed to acquire the two main factor -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which differ fundamentally in the information storage and learning proces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mental practice through target aiming task and serial reaction time task, which required the acquisition of explicit and implicit information respectively.
Methods : Total of fifty normal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with written informed consent,
who did not have no history of neurologic or visual deficits.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to each of groups respectively(mental training, physical training, and control group). The target aiming task required to move and click the mouse with the 0.5㎝-circles(10㎝ apart), to travel from leaving 1 target to the second target as quickly and accurately possible. The serial reaction time task required to press the matched button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when one of four colored lights was displayed on computer screen. For data analysis, Movement time and reaction time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raining for three days respectively.
Results : In the target aiming task and the serial reaction time task, there were a significant change of movement time in both the mental training and physical training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in comparison of the standard Z-score, the mental training group showed more higher scores than the physical training group in the target aiming task.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both groups in the serial reaction time task.
Conclusion : Our results revealed that mental practice using motor imagery was effective on learning the task to be require to acquire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In additionally, we founded that mental practice might be more effective on performing a task that have explicit information, and that was as much as useful as the physical training. It is possible that mental practice using motor imagery is considered as one of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brain injury, who had a difficulty on performing the actual movement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암묵 및 외현적 속성을 가진 운동 과제를 통해 정신훈련과 실제훈련의 효과와 정신 훈련에 적합한 속성의 운동 과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정상 성인 36명을 세 집단(정신훈련군, 실제훈련군,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고, 표적조준과제와 시열반응과제를 이용하여 정신훈련 및 실제훈련 실시하였다. 표적조준과제는 모니터에서 제공하는 좌우의 두 개의 원안에 마우스를 위치함과 동시에 클릭을 하게 하였고, 시열반응과제는 모니터에서 제시되는 네 가지의 색깔에 대응하는 반응패드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최대한 빨리 정확히 누르도록 하여,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신훈련과 실제훈련은 각각 하루 30분, 3일 동안 훈련하였고, 훈련 전과 후의 운동반응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표적조준과제에서는 정신훈련군과 실제훈련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반응시간의 변화를 보였고(p<.05), 시열반응과제에서도 정신훈련군과 실제훈련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반응시간의 변화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각각의 과제에서 집단간의 표준화된 점수의 비교에서 표준 조준과제의 경우, 실제훈련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고(p<.05), 시열반응과제의 경우에는 실제훈련군이 그 증감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정신훈련은 암묵 및 외현적 속성을 가진 모든 과제에서 운동학습이 이루어졌고, 암묵적 지식의 습득보다는 외현적 지식이 요구되는 과제에서 운동학습의 효과가 높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방법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각 과제에 대한 훈련 전후의 반응시간과 변화량
  2. 훈련군에서 각 과제간의 Z값 차이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지원 Park, Ji-Won.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