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규모계획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hysical Quality Indicators of the Recreational Open Space, based on the Development Conditions in Apartment Housing

김기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the physical quality indicators of recreational op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36 housing estate samples which were built in 1994-1998.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development conditions and physical quality indicators of recreational op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The second part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physical quality indicators of recreational open space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ite planning methods which increase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artment housing, while promoting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내 휴게 및 놀이공간을 활용한 커뮤너티 활성화와 주거환경만족도의 제고를 증진시키는 과정에서 개발여건별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정량적 계획특성의 파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36개 사례단지를 대상으로 질 지표를 활용하여 개발여건별 휴게 및 놀이공간의 정량적 계획특성을 파악한 결과, 대도시에 입지하는 단지일수록 휴게 및 놀이공간의 호당 할당된 면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휴게및놀이공간면적의 계획특성이 공동주택단지 주거환경만족도에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규모와 휴게 및 놀이공간면적의 계획특성이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수와 단지규모는 전체와 호당휴게및놀이공간면적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환경만족도와 서로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적률은 휴게및놀이공간의 계획특성과 일정한 비례관계를 형성하지 않으나, 호수밀도는 전체휴게및놀이공간면적과 반비례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거환경만족도에 상관관계를 찾아보기 어려워 서로 영향관계를 형성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게 및 놀이공간의 공간적 양(면적확보) 관련 질 지표 중 공동주택단지 거주자의 인지주거환경과 상관관계가 높은 지표는 전체휴게및놀이공간면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결과 양의상관관계를 형성하여 전체휴게및놀이공간면적이 증가할수록 거주자의 주거환경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사례연구개요
 II.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질 지표와 개발조건 구성요소
  1.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 질 지표 구성요소
  2. 공동주택단지 개발조건 구성요소
  3. 공동주택단지 주거환경만족도 구성요소
 III.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규모계획 특성
  1. 개발입지별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정량적 계획특성
  2. 평균주택규모별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정량적 계획특성
  3. 세대수별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정량적 계획특성
  4. 단지규모별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정량적 계획특성
  5. 용적률별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정량적 계획특성
  6. 호수별도별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정량적 계획특성
 IV. 공동주택단지 휴게 및 놀이공간의 질 지표와 주거환경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수 Kim, Gi-soo. 국립충주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