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Granaries of Traditional Houses in the southern area - Focused on Jeonra-do area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aries'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Although the historic value had been considerate high, with few document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granaries had been vanished gradually through the generation. It is an excellent chance to understand the lower limit of function of the granary at that time. Whereas the granary was just affiliated storage facility of houses, it could be recognized to see the spatial compositions and structural ideas for the addition and variation. It gives significance to make a collection of the documents and drawings of the storage facilities that had been vanished and varied increasingly.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ampling cases of granary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for food storage on Jeonra-do area. for the purpose of inspection the layout type, floor plan, scale, shape, structure, and finished materials.
한국어
본 연구는 가장 소중했으면서도 건축사가의 차별적 접근방식으로 아무런 기록 없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능이 상실되어 사라져 가는 저장시설인 곳간 건축물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가치를 재확인하여 그 시기에 가장 중요한 저장 기능을 어떻게 수행 하였는가를 밝히고 그 건축물이 가지는 곳간으로서의 건축특성과 그 형태 등을 살펴보는 것은 당시 사회가 건축에 요구하고 있는 최소한의 기능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부속시설에 불과하나 저장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건축이 필요로 하는 내구성이 단순한 재료적 의미에서 더 나아가 공간 구성적인 측면이나 증축 또는 변형을 위한 구조적 고안 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서 언급하였듯이 건축물 자체가 소멸되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많은 창고건축에 있어서 그 자료를 정리하는 것 또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량의 저장, 보관시설인 곳간 건축물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여 배치유형, 평면구성방식 및 규모, 건축형태, 그리고 구조 및 마감 재료들의 특징을 파악하여 종합적으로 곳간건물의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II. 창(곳간)의 개념 및 형성과정
1. 창고의 개념
2. 곳간의 형성과정
III. 곡물(穀物) 창고
1. 보성 이범재 가옥의 곳간
2. 보성 이보성 이금재 가옥의 곳간
3. 보성 이용우 가옥의 곳간
4. 보성 문형식 가옥의 곳간
5. 화순 양동호 가옥의 곳간
6. 영광 신호준 가옥의 곳간
7. 나주 홍기헌 가옥의 곳간채
IV. 각 곳간의 건축특성 분석
1. 배치유형 및 특성
2. 민가 창(곳간)의 평면구성 및 규모
3. 민가 창(곳간)의 건축형태 및 구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