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시인터페이스에서 공공 일러스트레이션이 가지는 공공성과 창조적 가능성에 대한 실존론적 고찰

원문정보

A Existential Study of creative for public-illustration on Urban-Interface

김용범, 김영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llustration is an image which delivers universal sensitivity rather than to express an individual’s creativity. However, this traditional meaning of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s not applicable to the illustrations produced within public spaces. This is because, unlike the Internet clubs or books of which creators and consumers are fairly predictable, the information these images carry tend to become something new when their creators and consumers are distorted by an unpredictable ambiguity.None the less, the illustrations within public spaces are created in the aim of delivering information of governmental or corporative institutions to their consumers in a unilateral manner, interrupting the fre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reators and consumers. In other words, an autocratic nature of the public illustrations is pulling apart a diversity of public spaces. The biggest reason of this conflict is that a community, which requires a mass concept, consists of a collection of individual groups that cherish diverse ideologies. The idea of publicity itself can be diversified according to a standpoint of each member of the community.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ague structure of communication in public spaces by the notion of urban interface and to seek a general idea of the images which can be enjoyed and understood by various types of members in a community, rather than to ask an impossible question of definition of publicity. What this study asserts is that the creative potentiality of public illustrations can be maximized when they address communication not from the creator’s tyrannical standpoint but from the consumer’s interpretive point of view for the sake of the publicity within public spaces.

한국어

일러스트레이션은 개인의 창조적 표현보다는 보편적인 감성의 전달에 치중置中하는 이미지이다. 보편적인 감성을 이용해 작가의 감성과 정보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이미지, 생산된 정보를 수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기획되는 이미지인 것이다. 그러나 공공공간에서 제작되는 일러스트레이션은 이러한 고전적인 의미의 정보전달 체계가 적용되지 않는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어느 정도 예측되는 미디어 매체 즉 서적이나 인터넷 클럽등과 달리, 공공공간의 이미지들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예측되지 않으며 이미지에 담겨진 정보도 수용자의 해석과 이미지의 모호성에 의해 왜곡됨으로써 전혀 새로운 정보로 변이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공간의 일러스트레이션들은 관과 기업의 정보를 수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게끔 제작됨으로써 생산자와 수용자의 자유로운 관계를 지향하는 공공공간과 충돌하고 있다. 즉 공공 일러스트레이션의 전제성專制性이 공공 공간의 다양성을 헤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순을 불러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공공성이라는 전체적全體的 개념을 필요로 하는 공동체가 다양한 이념ideology을 가진 개별적인 집단들의 모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공성에 대한 개념 자체가 구성원의 입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이에 본 논문은 공공성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라는 불가능한 물음에 답하기 보다는 공공공간의 모호한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도시인터페이스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이러한 구조 속에서 공동체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함께 즐기고 소통疏通할 수 있는 이미지의 개념을 모색했다. 즉 공공공간의 공공성을 위해서는 생산자의 전제적 입장이 아닌 수용자의 해석적 입장에서 이미지의 커뮤니케이션을 대할 때 공공 일러스트레이션의 창조적 가능성이 발휘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도시인터페이스의 구조
  2-1 이미지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공공 공간
  2-2 도시인터페이스의 의미와 공공성
 3. 공공 일러스트레이션의 창조적 가능성 고찰
  3-1 공공 일러스트레이션의 의미와 내재된 모순
  3-2 공공 일러스트레이션의 모호성과 창조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용범 Kim, Yong-bum. 서원대학교 멀디미디어학과 강사
  • 김영찬 Kim, Young-chan. 서일대학 광고디자인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