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머리말
II. 경전 장엄 방법과 중국에서의 전개
III. 고려사경의 특징
IV. 일본 헤이안시대 변상의 특징
V. 동아시아 삼국 간의 전파와 수용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原文
II. 경전 장엄 방법과 중국에서의 전개
III. 고려사경의 특징
IV. 일본 헤이안시대 변상의 특징
V. 동아시아 삼국 간의 전파와 수용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原文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見返し絵のある中国の樹紙金字法華経- 徳川美術館蔵一」,金號叢書第8辑, 1981.
- 2蘇州市文管会 蘇州博物館, 「蘇州市端光寺塔發現ᅳ批五代北宋文物」,『文物』第11期,1979.
- 3蘇州博物館 編著,『 蘇州博物館藏 虎丘云岩寺塔·瑞光寺塔文物』, 文物出版社, 2006.
- 4「平安時代の定型経卷見返絵について」, 『佛教藝術』136号, 1981.
- 5「写経と莊厳一平安時代装飾経の特質一」, 『佛教藝術』153号, 1984.
- 6『日本の古寺美術 19 中尊寺と毛越寺』, 保育社,1989.
- 7「元 . 至元二十八年の細紙金銀泥華厳経について」,美術史 40号,1961.
- 8「新羅白紙墨書華厳経について」,『佛教藝術』127号,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