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저습지 유적의 조사 및 분석방법

원문정보

Methods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Historic Sites Located in Wetland Contexts

조상훈, 권귀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various kinds of farming implements and tools, as well as fauna and flora remains, excavated from historic sites located in wetland contex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identifying
past environment, in addition to past diet, clothing, housing and culture.
Due to the difficulty in identifying soil layers, in particular distinguishing between cultural and non-cultural layers, investigations carried out on archaeological features within a wetland context have not been satisfactory. Therefore, we believe that a more in-depth discussion regarding investigation methods is required in order to fully appreciate the potential of artifacts obtained from future investigations of wetland sites (which look to increase in the future).
This paper examines, firstly, the process by which a wetland area is formed. It then presents the method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investigation of wetland sites. We stress, in particular, the need to maintain the slope surface and to pump out water before wide-scale excavations are carried out.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between cultural layers resulting from human agency and fluvial deposits laid out by floods is also discussed and the usefulness of establishing a mimetic diagram of post-depositional processes is noted.
Finally, this paper looks into the investigation and first treatment of organic remains excavated from wetland sites. It considers methods of selecting test samples and presents the diverse range of results which may be obtained through scientific analysis.

한국어

저습지 유적에서 출토되는 각종 농ㆍ공구류와 다양한 동ㆍ식물유체 등은 당시의 환경뿐만 아니라 고대인들이 향유한 의식주 생활 및 문화양상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문화층과 비문화층의 구분이 명확히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층위 파악의 어려움으로 인해 저습지내 조영된 각종 유구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부분이 어느 정도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증가될 저습지 조사에 있어서는 출토 유물의 의의와 해석 뿐만 아니라 조사방법에 대한 다양한 방법도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먼저 저습지의 형성과정을 살펴본 후, 저습지 유적에 대한 조사방법을 서술하였다. 조사방법은 본격적인 평면 조사에 앞서 법면의 유지ㆍ배수대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토층조사 및 평면조사에서는 인위적인 문화층과 범람에 의한 폐기 단위의 구분이 필요하며 이때 후퇴적 과정의 모식도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평면조사에서 출토되는 유기질 유물에 대한 조사 및 응급 처리과정, 시료채취 방법을 살펴본 후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여러 결과를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저습지 유적의 정의 및 형성과정
  1. 저습지 유적의 정의
  2. 저습지의 형성과정
 Ⅲ. 저습지 유적의 조사방법
  1. 유적의 지형 파악 및 조사범위 설정
  2. 법면유지 및 배수대책 수립
  3. 토층조사 및 층위파악
  4. 평면조사
  5. 유기질 유물의 조사 및 처리방법
  6. 시료채취
 Ⅳ. 저습지 유적 출토 시료의 분석방법
  1. 자연과학적 분석
  2. 연대결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상훈 Sang-hun Jo.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전임연구원
  • 권귀향 Kui-hyang Kwon.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