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무문토기의 용량분석 시론 ― 충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 출토품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Estimating a Parent Vessel's Volume from Its Sherds : Analyzing Pottery from Bronze Age Habitation Sites in the Chungnam Province

김범첣, 안형기, 송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guing that the reconstruction of vessel volume is an important part of archaeological pottery studies, we attempt to provide a systematic means of estimating the volume of a parent vessel from its respective sherds. The specific cases dealt with in this paper come from assemblages of mumun pottery and red-burnished pottery which have been recovered from Bronze habitation sites in the Chungnam Province. The two-dimensional attributes of individual vessels were measured and their volumes estimated by scanning pictures from excavation reports and digitizing them through AutoCAD.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a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etween the two-dimensional measurements and vessel volume.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provided equations useful for estimating a parent vessel’s volume
from its sherds. In our analysis, we concentrated, in particular, on the two-dimensional attributes
associated with vessel rim, which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a parent vessel’s form
or type.
Since the aim of this analysis is to propose equations which can easily be applied in practice, we adopt an inclusive classificatory scheme that is currently and broadly in use, rather than devising a new and complicated scheme. In detail, we classify mumun pottery into necked pottery, comprised of jars and Songgugni-type pottery, and non-necked pottery, which include urns, deep bowls, bowls, and shallow bowls. Red-burnished pottery is classified into Songgugni-type vessels and non-Songgugni-type vessels. Some if these categories are further subdivided into sub-types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equations.
With the exception of certain sub-types, which are represented by a limited number of vessels, we were able to obtain reliable equations for most (sub-)types of pottery.

한국어

본고는 토기에 대한 다방면의 고고학연구에서 체계적인 용량복원이 중요함을 피력하면서, 불완전한 파편으로부터도 용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분석대상은 충남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취락의 생활유구에서 출토되는 完形의 무문토기 및 단도마연토기이다. 개별 토기의 계측과 용량복원은 기 발간 보고서의 도면에 대한 스캔과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치화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단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2차원적 계측속성과 용량과의 관계를 설정해 보는데, 그 결과는 최종적으로 개별 토기가 파편으로 수습되었을 때도, 용량을 추정할 수 있게 해주는 수식이 된다. 따라서 다양한 2차원적 속성 중에서도, 파편으로부터도 기종(형)의 추정이 가능한 구연부의 속성들에 주목한다.
본고의 목적이 실전에서 간단하게 활용할 수식을 제공하는 것인 만큼, 기종의 분류는 복잡한 것을 새로이 제시하기보다는 현행의 안 중 포괄적인 것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無文土器는 ① 목이 형성되지 않은 옹형/심발형/발형/완(혹은 천발)형 토기와 ② 목이 형성된(necked) 松菊里型土器와 호형토기로, 丹塗磨硏土器는 송국리형토기와 비송국리형토기로 대별하되, 수식의 효용을 높이기 위해 각 부류를 특정 속성에 주목하여 세분하기도 한다.
개체수가 심각하게 적은 몇몇 세부기종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기종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유효한 복원수식을 얻을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토기용량 복원의 의미와 방법
 Ⅲ. 분석의 대상과 절차
 Ⅳ. 충남지역 청동기시대 토기 器種分類
 Ⅴ. 器種別 용량 복원 수식의 몇 예
  1. 무문토기
  2. 丹塗磨硏土器
 Ⅵ. 결론 : 활용방안
 <參考文獻>
 

저자정보

  • 김범첣 김범철.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조교수
  • 안형기 Ahn, Hyoung-k.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조사원
  • 송한경 Song, Han-gyoung.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조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