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덕교육의 당위성에 관한 한 해석 : 이론적 이해로서의 도덕교육

원문정보

The Justification of Moral Education : From the Viewpoint of Moral Education as Theoretical Understanding

박현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mmonly, moral education has been regarded as the educational practice for leading children to moral life which is predetermined by moral philosophy. This point of view treats moral education as a means to an end which is determined by moral philosophy. If someone thinks that the justice of moral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is view, he must be able to show that moral education is efficient as a means to an end; the end is getting all persons to do moral acts. But the theories of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view, for example, Kohlberg's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or integrative approach (like an education of character), could not have shown the efficiency. So, we can suppose that this view is not able to justify moral education well.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point of view that moral education is regarded as understanding morality theoretically. According to this view, moral education is not a means to an end which gets to do moral acts. It is a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that leads children to understanding significances of morality on ethics. Moral education as a theoretical understanding makes both teachers and children think about the nature of morality and reflect
on themselves constantly. This is a reason that we have to teach the morality in the school
and also this is an evidence that establish the justice of moral education.

한국어

일반적으로 도덕교육은 도덕철학에서 규정된 도덕을 일상생활에서 행위로 표현하게 하는 실제적 지침을 가르치는 활동으로 파악되어 왔다. 그러나 도덕교육은 단순히 도덕철학에서 규정한 도덕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도덕을 규정하는 실천적 담론의 성격을 지닌, 하나의 이론인 동시에 실제이다. 도덕교육을 실제적 처방의 관점에서 파악할 경우 도덕적 행위의 효율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 당위성은 사라지고 만다. 도덕교육의 당위성은 도덕교육을 이론적이해의 관점에서 파악할 때 비로소 확보될 수 있다. 이론적 이해의 관점이란, 도덕교육을 교사나 아동 모두가 도덕적 조바심에서 벗어나 도덕에 대한 의미를 학문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활동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말한다. 이론적 이해로서의 도덕교육은 도덕교육에 참여하는 사람들 모두가 인간의 한계를 인식하고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성찰하게 된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의 당위성을 보장한다. 도덕교육의 당위성이 굳건해지려면, 무엇보다도 도덕적 조바심에서 벗어나 이론적 이해를 추구하는 교사의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교사의 이론적 이해 추구는 교육의 사태 속에서만이 일어날 수 있는, 즉 아동의 이론적 이해 추구와 별개로 일어날 수 없는 도덕교육 그 자체이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실제적 처방으로서의 도덕교육
  1. 형식 위주의 인지발달적 접근
  2. 내용 위주의 통합적 접근
 Ⅲ. 이론적 이해로서의 도덕교육
 Ⅳ. 결론
 【참고 문헌 】
 

저자정보

  • 박현진 Park Hyeon-jin. 한국교원대 초등도덕전공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