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조선족 문학

식민지시대 지식인의 행동적 저항과 그 기록

원문정보

Couragious resistence of intellectuals in colonial age and their documentaries

이해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reviewed “The last squad leader” and “Stone pillow” in relation with authors’s lives.
Two books are passionate documentaries of Kim, Hak-chul and Jang, June-ha who had acted up to their belief of conciencious intellectuals’ uncompromising registence in colonial period through aggresive activism.
We classified their two works as autobiography and memoi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writing style.
Such differences of style can ultimately be traced to the differeces of their trace of wheels of life and paths of resistence.
Kim, hak-chul and Jang, jun-ha were two outstanding types of intellectuals who gave their body and sole to live fiercely up to their activism in colonial period.
Though their lives and paths of resistence have so much in common that they can be classified as members of a same group, they are so much different with each other as the geographical differece between Taehang mountain and Xian where they reside and fight after their escape, and as the obvious difference and foreigness between becoming writer in Yianbian,china and establishing a nation in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of nation.
I assumed that these difference and foreigness result in such differeces of style of wring of two documentaries as autobiography and memoir.
I followed up with such differeces as the differences of intellectual level and situation resulted from the fact that one was a junior high school student and the other was a student soldier when they escape, as the difference of their world view to fight against and totally deny modern age, and as the differences of their ways and paths of lives they choose when their common enemies of Japanes imperialism, against which they gave their body and mind to fight, disappeared thanks to liberation.

한국어

이 글에서는 식민지시대 양심적 지식인의 비타협적 반항과 저항 의지를 적극적 행동주의로 실천해나간 김학철과 장준하의 격정의 기록인 최후의 분대장 과 돌베개 를 그 저자들의 삶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이들 두 작품이 기록하고 있는 내용과 양식의 차이에 따라 각각 자서전과 회고록으로 명명하고 이러한 양식의 차이가 결국은 그 둘의 삶의 궤적과 저항의 행로의 차이에서 연유하는 것임을 추적해보았다.
김학철과 장준하는 식민지 시대를 온 몸으로 부딪치며 치열하게 자신의 행동주의를 실천해나간 지식인의 뛰어난 두 유형이다. 그들의 삶과 저항의 행로는 감히 함께 묶어 논의할 수 있을 만큼 동질성을 띠고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또한 그들이 중국 대륙으로 탈출 후, 몸담고 싸웠던 태항산과 서안 사이의 지리적 거리만큼이나, 해방 후, 중국 연변에서의 작가 되기와 남한에서의 나라 만들기만큼이나 뚜렷한 차이와 이질성을 띠고 있는 것이기도 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차이와 이질성이 우선 두 기록물의 양식적 차이인 자서전과 회고록의 차이로 나타남을 전제로 하여 그들이 중국 탈출 시, 중학생이었던 것과 학병이었던 것의 차이로 인한 지적 수준과 상황의 차이, 근대에 전면적으로 맞서고 근대를 송두리째 부정할 수 있었던 그들의 세계관의 차이, 광복으로 하여 그들이 온 몸으로 맞서던 일본 제국주의라는 대립 항이 없어졌을 때, 그들이 택했던 삶의 방식과 행로의 차이 등을 살펴보았다.

목차

국문개요
 1. 식민지시대와 지식인
 2. 역사 기록의 두 형식: 자서전과 회고록
 3. 중학생과 학병의 차이
 4. 비타협적 이상주의와 기독교적 이상주의
 5. 체험의 끝: 조선의용군과 광복군의 실패와 비극
 6. 결론
 ◆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해영 Lihaiying. 중국 해양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