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인문학

전통문화의 현대적 변용

원문정보

Modernized Acculturation of Traditional Culture

한승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21st century is the century of a rapid change that the world is united and flowing together.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keep our identities and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and make a good use of it. Thus, I will take a look of ‘the spirit of sunvy’, ‘Korean traditional zest’, and ‘Ki literary theory’.
‘Sunvy(a man of virtue)’ is the man who has scholarship and good personality; who realizes Confucian ideas. Sunvy is a righteous man who sacrifices his life in risky situations and considers rightness when he has a chance to get benefits. Sunvy never yields to power and status. Sunvy is the subject of courtesy and justice, and also a source of social life force. Trust is showed by his broad companions. Sunvy is an alive intellectual who has a critical and penetrating eye and recreate society by inspiration.
The special feature of ‘beauty of Korea’ is not standardized, regularized, and practical as that of Western countries. An aesthetic sense of Korea is unstandardized. It is beauty of deviation-extrication and delicate variation – and it is beauty of curves that shows flexible bending lines like a bow with vivid rhythmical beauty. Zest of Korea is created when it denies standards and is
distorted, and frees itself from any certain form. An aesthetic sense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surplus comes from maturity. In addition, it is an aesthetic sense of isolated elegance based on amusement which never yields to anything and it is beauty of balance and harmony that is harmonized and reconciled.
‘Ki literary theory’ can be divided into two points of view: one is temperament point of view and the other one is sprit point of view. The temperament point of view sees energy as disposition and brings individuality in relief, and the sprit point of view understands energy as power and a will on the basis of the natural greatness of a soul as a source. It is certain that creative power of the subject of origination is a storm center of both the temperament point of view and the sprit point of view. The subject of origination receives driving force which can provide origination and impression from nature; this origination and driving force is expressed in the work as life force, and readers are impressed responding to this energy that is life force.
The energy is the root of the life; life is combination of energy. The energy makes activity of spirit which controls function of mentality of a human being possible. It puts the whole creation in same place. The whole creation ties up with equality, not superiority and inferiority. Human beings can stand on a standpoint of ecology when they reach this point.
In conclusion, if Korean nation establishes its own subjectivity based on unyielding spirit of a man of virtue and demonstrates its individuality and flexible creative power on the basis of Korea’s atypical beauty, Korean traditional culture will be the best culture with life force in the world.

한국어

21세기는 세계가 하나로 통합되어 혼류되고 있는 격변의 시대다. 작금의 상황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며 전통 문화의 보존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지혜다. 이에 필자는 본고에서 우리가 보존해야할 전통적 가치로 ‘선비정신’ 과 ‘우리 고유의 멋’ 그리고 ‘기 문예론’을 살펴보았다.
‘선비’는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으로, 유교 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다. 선비는 위태로움을 당하여서는 생명을 바치고, 이익을 얻게 될 때는 의로움을 생각하는 의인이다. 선비는 세력과 지위에 굽히지 않는 존재다. 선비는 예법과 의리의 주체요, 사회적 생명력의 원천이다. 선비는 현실의 문제에 비판적 안목과 혜안을 가지고 주체성 있게 현실을 바라보며, 정열적으로 창조적 에너지를 발휘하여 영감을 통해 사회를 재창조해 나가는 살아있는 지성인이다.
‘우리 미’의 특징은 서구의 미의식처럼 정제되고 규격화되고 실용적인 것들이 아니다. 우리의 미의식은 규격에서 벗어나고, 탈출과 미묘한 변화, 곧 일탈의 아름다움이며, 생동감 있는 율동의 미와 함께 활처럼 매끄럽게 휘어진 선을 유연하게 자랑하는 곡선적인 아름다움이다.
규격을 거부하고 정상적인 상태나 정규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왜곡의 형태를 지닐 때 우리의 ‘멋’은 창조된다. 원숙함에서 나오는 잉여성을 특색으로 하는 미의식이다. 그러면서도 서로서로가 화해하고 어우러지는 균형과 조화의 미이며, 유락을 바탕으로 유유자적하고 누구에게도 굽히지 않는 고고한 풍류의 미의식이다.
‘氣문예론’은 둘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가 기질론적 관점이고, 다른 하나가 기상론적관점이다. 기질론은 기를 기질이라 보아 개성이란 측면을 부각시키는 관점이고, 기상론은 맹자의 호연지기를 원류로 파악하여 힘, 의지 등을 부각시키는 관점이다. 기질론이나 기상론이나 모두 창작 주체의 창조적 힘, 곧 창의력이 핵심이다. 창작 주체는 자연으로부터 창의력과 감동을 줄 수 있는 동력을 받는데, 이러한 창의력과 동력은 작품에 생명력으로 작용하며, 독자는 이 기, 곧 생명력에 감응하여 감동을 받게 된다.
기는 생명의 근원이다. 생명체는 기가 취합된 것이고, 인간의 정신 기능을 지배하는 마음의 활동도 기(심기, 의기, 신기)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세상만물은 동일한 위상을 지니게 된다. 모든 만물이 우열의 관계가 아닌 평등의 관계로 맺어지게 된다. 인간은 이 차원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생태학적 관점에 서게 된다.
이상에서 볼 때, 우리민족이 강인한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주체성을 확립하고 우리 멋인 비정형의 미를 활용하여 유연하게 창조적인 힘을 발휘해 나간다면, 우리민족은 세계 문화 속에서 유구한 생명력을 지니는 최고의 문화를 창조해 나갈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는 말
 2. 전통적 정신가치의 현대적 변용
  1) 지식인, 선비, 선비정신
  2) 우리 멋의 현대적 의의
 3. 문예론의 전통계승과 현대적 변용
  1) 기질론과 기상론
  2)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조명
 4. 21세기 사회의 전망과 전통문화의 현대적 의의
 5. 맺는 말
 ◆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승옥 Han, Seung-ok. 숭실대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