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교육 담론에 나타난 ‘기준’관련 쟁점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Issues in the Discourse of Standards-Based Reforms in Teacher Education

김경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debatable issues in the discourse of
standards-based reform in teacher education in Korea. In doing so, critical issues raised by standards movement in teacher education in the U.S were studied, because the literature on standards-based reform in Korea was mostly part based on the U.S experience. The results, then,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with Korean experience. In the US, standards in teacher education were developed to align PK-12 standards in order to professionaliz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premise on teaching as a profession,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s such as NCATE, NBPTS, INTASCS, etc. have developed standards f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As many mor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eachers were licensed by standards, many highly politicized debates were brought up. Some disputable issues were that standards hid the erroneous concept of equity, played the role of control mechanism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and covered the regulation of teacher preparation by keeping bright young people out of teaching. In korea, standards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have recently developed in very similar terms to those of the U.S.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MOE) initiated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with a small amount of fund, thus, few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completed it with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In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professionaliz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standards, the difference in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the context in which standards are requested between Korea and the US should be understood. Also, theoretical, ideological, and political evidence of professionaliz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should be fully explored. Otherwise conflict with the present teacher education program will not be avoidable.

한국어

이 글은 최근 교사교육 담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준’의 의미와 쟁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미국에서 일어난 기준운동과 이제 막 시작된 우리나라의 교사교육 기준개발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고 드러나는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미국에서 교사교육 담론에 나타난 기준은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서의 기대하는 목표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었다. 기준이 갖는 목표로서의 의미는 PK-12와 정렬하여 가르쳐야 하는 교사의 책무성 중시 정책과 맞물려 결과로서의 의미에 충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교사의 평생 학습적 차원에서의 교사 학습을 간과하는 점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준운동이 교사의 능력을 증진시킴으로서 학생의 학업능력을 성장시킨다는 전제를 만족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의 기준과 관련하여 드러나는 쟁점으로는 의미의 문제, 기준이 교원양성교육을 통제하는 문제, 다양한 경로를 통한 우수 인력의 교직진입을 막는 문제 등이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교사교육 기준개발 연구는 미국의 기준운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나 의미가 명료하지 않았고, 기준개발의 양국 간 교사교육 맥락의 차이
에 대한 이해 부족, 기준을 정당화하는 경쟁하는 정치적, 이론적, 이념적, 경험적 논의의 부족등이 문제로 드러났다. 현재 개발된 교사교육 기준이 그대로 법제화되어 적용된다면, 현재 실행중인 법제화된 요건 중심의 각 교사교육기관의 교사교육 프로그램과의 충돌이 예상됨으로 드러나는 문제에 대한 심층적 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국에서의 교사교육 기준운동
  1. 기준운동
  2. 기준에 대한 의미와 쟁점
 Ⅲ. 한국에서의 교사교육 기준개발의 의미와 쟁점
  1. 기준의 의미
  2. 기준개발에 나타난 쟁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자 Kim, Kyung-Ja. 이화여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