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영화에 나타난 가족ㆍ모성 윤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 of Ethics of Family and Motherhood on Korean Film

최용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tches family and motherhood appeared on Korean film from the 1990s to the 2000s. For a long time, Traditional familism has been recognized as the fundamental unit of social life.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about traditional family ethics and familism has been providing the conflict of mothorhood's role , individualism and absence of family during 1990s. It is new representation that not find before 1990s. But, Korean film in the period of 2000s shows the importance of family and motherhood. And the familism can be seen as a important form with instrumental, quasi-familism and family centrism incorporated. We can regard that films and changes of social environment are related. IMF economic crisis served as a momentum to make the setback of condensed modernization visible, has degraded authority of the head of a family and given fundamental change to the appearance and function of family. The crisis of family and dehumanization by break up of family is revised in the korean film during 2000s. And representation of motherhood reconstructs actual experience and voice of mother to draw out positive aspect of motherhood. Family and motherhood represented on Korean film during 2000s has become to deal with experiences of various typed families and motherhoods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And the newly alternative family and motherhood type is devised and the film represents the trends of that issue very attentively. This change shows the need of communitarian family and motherhood ethics which is sensitive to complexity and othernes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영화에 재현된 가족과 모성의 윤리 변화를 탐색하되, 2000년대 전후를 중심으로 해서 그 변화의 특징과 양상을 살피고 있다. 1990년대와 2000년대를 구분하는 주된 특징은 바로 2000년대에서 들어와서 가족과 모성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1990년대의 경우 전통적 가족윤리가 약화되고 양성평등을 추구하면서 모성역할의 갈등과 가족 부재의 개인주의적 양상이 많이 나타났다. 하지만 2000년대에 이르러 가족주의가 강화되면서도 가족주의 문제점을 살피는 성찰적 시각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가족해체의 위기를 재현하면서도 새로운 부성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가족과 모성의 역할이 강조되면서도 보다 복수적이고 다양한 가족과 모성의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다. 결국 2000년대에는 보다 가족과 모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도 가족과 모성에 대해 다층적 재구성의 윤리가 시도되고 있다고 하겠다. 영화에 재현된 이러한 변화는 가족과 모성의 타자성과 복잡성에 민감한 공동체윤리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면서
 II. 1990년대의 사라지는 가족ㆍ갈등하는 모성
  1. 1990년대 이전까지의 전통적인 가족ㆍ모성의 윤리
  2. 1990년대의 영화 속 모성역할의 갈등
  3. 1990년대의 탈가족ㆍ개인주의화된 사랑과 가족 부재의 윤리
 III. 2000년대의 강화ㆍ성찰되는 가족과 모성
  1. 도구적ㆍ저항적 가족주의의 강화와 비판적 성찰
  2. 가정해체 위기와 부성의 재구성
  3. 따뜻한 모성애로의 귀향과 다층적 모성의 재구성
  4. 가족에 대한 다층적 재구성
 IV.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용성 Choi, Young-Seong.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