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한민족공동체의 이상과 현실

한민족 인터넷 문화공동체의 형성 방안

원문정보

A Plan for the Korean Global Internet Community

김병선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been planning the Korean Global Internet Community in this computer-based information society of 21st century. This Korean Global Internet Community is the only answer to organize and unite the Koreans of the world, who has been experienced Diaspora lives for various reasons. As a preliminary research, chapter Ⅱ deals with the conditions for a nation-based internet community. The internet community has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cyber community that is headed for the virtual-real community Cyber community has some obstacles in itself to form a virtual-real community which are the digital divide between community members and diversity of them, the discrepancy of conditions and abilities of information access, and obstacles inherited from the medium itself. However, the Koreans have many potentialities in their characteristics to form a virtual-real community.
Chapter Ⅲ deals with the directions for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Global Internet Community. To establish a cultural community in the internet, we have to compile the cultural resources and heritages as a database in the form of hypertext and also to extend the information literacy of the individuals and their rights of accessing information freely. There remain some tasks to do that, such as governmental support to the Korean Global Internet Community financially and technically.

한국어

이 글에서는 21세기의 정보통신 사회에서 한민족의 공동체를 가상공간에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그에 관계되는 여러 장애요인과 극복 방안, 가상적 민족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정책적인 지원 방안을 살펴보았다. 서론에서는 한민족 가상공동체 구성을 위한 당위성과 필요성을 살피고, 이를 위해 기존의 학문적 논의와 구체적인 가상공동체 활동들을 간략히 검토해 보았으며, 개론적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기존 연구와 활동의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Ⅱ장에서는 민족을 동질성으로 하는 인터넷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여러 조건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인터넷 공동체가 가상적 공동체이기는 하지만, 진정한 가상공동체는 가상현실적, 즉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동시에 작용하는 공동체여야만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최근에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인터넷의 커뮤니티 서비스는 이러한 가상공동체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가상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휴먼웨어인 공통성을 가진 구성원(적어도 민족 교육이 제도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민족공동체 구성원), 하드웨어인 소통과 접근의 통로(충분한 대역폭을 가진 인터넷 서비스), 운영체계인 구성원의 상호작용(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문화 자원의 공유(문화공동체가 제공하는 문화적 콘텐츠) 등이 만족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로는 구성원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와 다양한 구성원,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여건과 능력의 차이 등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 자체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혈연공동체를 중요하게 여기는 한국인의 특성 등이 바람직하게 전환되면 인터넷 민족공동체는 성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Ⅲ장에서는 구체적으로 한민족 인터넷 공동체의 구성 방안과 발전 방향을 검토하였는데, 특히 민족공동체가 문화적 자산을 공유하고 있는 점을 중시하여 문화 유산과 문화 자원의 데이터베이스 축적 및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그리고 구성원 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과 정보 접근권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민족 인터넷 공동체의 구성 방안을 검토하면서, 특히 각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한민족 공동체들이 온라인 공동체를 만들고, 이러한 온라인 공동체의 가상적 연합으로서의 한민족 가상공동체를 형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기본적인 한민족 공동체 사이트 구축을 위한 표준 모델 웹사이트의 제공 및 상호작용의 프로토콜 제정 등의 기술적 지원 및 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인터넷 민족공동체가 지향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연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우리의 문화적 역량을 인터넷의 아름다운 자원으로 활용하며, 나아가서는 세계의 모든 민족에게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자는 것이다. 전세계에 거주하는 우리 민족이 거주 지역의 시민으로서도 큰 기여를 하며, 가상적인 통로를 통하여 한민족으로서의 연대감을 높여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민족의 가치를 세계적 수준으로 고양시켜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민족 기반 인터넷 공동체의 조건
 1. 인터넷 공동체의 성격
 2. 가상공동체 구성을 위한 조건
 3. 가상적 공동체 형성의 장애요인
 4. 인터넷 민족공동체의 가능성
Ⅲ. 한민족 인터넷 공동체의 구성과 발전 방향
 1. 문화공동체로서의 인터넷 공동체
 2. 한민족 인터넷 공동체의 구성과 지원 방안
Ⅳ. 결론

저자정보

  • 김병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