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조선족 집거구 해체 위기와 대응

원문정보

Dissolution Crisis of Chinese-Korean Community and Its Response

김재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n era of globalization,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over the creation of the global Korean community that amounts to some six million overseas Koreans. This means that we need to approach the issue of overseas Koreans residing in foreign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s. Fortunately for us, many of some six million overseas Koreans are residing in major neighboring countries close to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about a third of overseas Koreans or some two million are living in what the Chinese call Dongbei 3-provinces, namely Liaoning, Jilin and Heilongjiang, which are geographically close to Korea Peninsula. They are forming their own Korean community towns of various sizes in the center of Dongbei 3-provinces, a traffic hub connecting China with Russia and two Koreas. In this regard, the Chinese-Koreans in the Dongbei 3-provinces will be a great advantage and asset in forming a global Korean business network and a global Korean cultural community, while playing a great rol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during and after the inter-Korean unification.
In addition, the Chinese-Koreans are characteristically enjoying national regional autonomy and village autonomy in their Korean community tow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Jilin Province, Changbei Korean Autonomous County, 50-odd Korean ethnic towns and some existing 2,000 autonomous villages stand as perfect example of their autonomy. In accordance with the Chinese Constitution as well as "Law on National Regional Autonomy" and "Village Committee’s Organizational Law," they are living with considerable national regional autonomy and village autonomy within their ethnic autonomous regions.
However, the Chinese-Koreans are facing a crisis of the dissolution of their community town that will be of politicoeconomic significance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Korean people. Crises range from problems involving ethnic autonomy and identity to education, brain drain and agricultural economy within the community town. The main reason is because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from community town in the Dongbei 3-provinces occurred in the wake of China’s reformist open-door policy and diplomatic establishment with Korea. If the Korean community towns are dissolved, the precious resources of Koreans will go to waste, which will take a great amount of opportunity cost on the long term.
Chinese-Korean society has responsed with the crises in various ways. The construction of concentration villages, the foreign investment projects, the construction of ethnic tourism villages and the introduc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e are just a few examples of their responses. However, these crises can not be actually solved only by the Chinese-Korean society.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work closely to help deal with the problems. In particular, South Korea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long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approach the issues strategically.

한국어

세계화 시대에 600만 규모의 재외동포를 활용한 세계 한민족공동체구축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의 존재에 대하여 한민족의 발전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다행히 600만 규모의 재외동포들이 특히 한반도 주변 주요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중국 동북 3성은 세계 재외동포의 1/3이 밀집해 있는 지역으로, 지리적으로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규모도 200만 명이 넘는다. 이들은 중국 동북 3성의 교통 요충지로 중국대륙과 러시아 그리고 남북한을 이어줄 수 있는 중심적인 지역에 크고 작은 집거구(集居區)를 형성하여 거주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중국 동북 3성의 조선족은 세계 한상(韓商) 네트워크와 한민족 문화공동체 형성에 있어서 중요 거점이자 인적 자산이며, 이 지역은 남북한 통일과정과 통일이후에 있어서 정치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다.
이 지역의 조선족은 집거구 내에서 민족구역자치와 촌민자치를 하고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를 비롯하여 장백조선족자치현, 50여 개의 조선족민족향(진) 그리고 기층 자치조직으로 2,000여 개의 촌이 그것이다. ‘헌법’과 ‘민족구역자치법’ 그리고 ‘촌민위원회조직법’에 의거하여 각각의 민족자치지역에서 조선족에 의한 민족구역자치와 촌민자치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한민족의 발전과 통합 과정에서 정치경제적으로 중요한 조선족 집거구의 해체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민족 자치권의 위기, 민족 정체성 위기, 교육 위기, 인재 유출 위기, 농촌 경제 위기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위기의 원인은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과 한국과 수교 이후 발생한 동북 3성 집거구에서의 인구 압출(push factor) 때문이다. 만일 조선족 집거구가 해체된다면 한민족의 민족역량을 사장시켜 장기적으로 커다란 기회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다.
조선족 사회에서는 이러한 위기에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 집중촌 건설, 외자 유치 사업, 민족관광촌 건설, 기계영농, 생태환경농법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는 현실적으로 조선족 사회만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같은 민족으로서 남북한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접근할 문제이다. 특히 한국의 중앙정부, 지방정부, 교육기관, 민간단체 등에서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민족 발전과 조선족 집거구의 정치경제
Ⅲ.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과 민족의 분산
 1. 개혁개방 정책과 호구제도의 약화
 2. 중국 내 대도시로 민속분산
 3. 한중수교 이후 한국으로의 분산
Ⅳ. 집거구의 해체 위기와 대응
 1. 집거구의 위기 현상
 2. 중국 조선족 사회의 대응
Ⅴ. 결론:한국의 대응

저자정보

  • 김재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