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세계 한민족의 이주 및 정착의 역사와 한민족 정체성의 비교연구

원문정보

The Korean Diaspora and Korean Ethnic Identity from Global Perspectives : Koreans in China, Japan, the CIS, the U.S., and Canada

윤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spite region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the social and economic adaptation and ethnic identity of overseas Koreans, several common patterns emerge from comparison. First, they seek aggressively upward social and economic mobility instead of remaining at the bottom layer of ethnic stratification of host countries. Although they initially meet disadvantages and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they overcome such huddles by hard work and a strong desire for upward economic motility. And yet, they seldom enter the elite class of host countries. Thus, the socioeconomic position of Koreans is generally intermediate between the elite and the masses.
Second, societal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drives Koreans to seek occupations that are relatively immune to discrimination and those beyond the reach of government authority. Koreans avoid politics, military, and governments while they prefer independent work, such as private farming, academia, self-employed businesses. Even in self-employed businesses, they concentrate in areas where members of the dominant group are reluctant to engage in because of low profit margins and low social prestige attached to them.
Third, after the first generation lay the foundation of economic stability, they tend to invest in children's education. Advanced education is regarded as safeguard against societ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gainst minorities. The second and later generations equipped with advanced education tend to become professionals or independent workers by climbing the shoulder of their parents. Becaus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businesses are concentrated in big cities, Koreans are also heavily concentrated in big cities of host countries.
Fourth, Koreans tend to maintain strong ethnic identity and attachment although they are highly acculturated in host countries. Their ethnicity is not merely a cultural and symbolic expression but has actual influence on job career, marriage, friendship, and religion. And yet, their ethnic identity is dual identity emphasizing both ethnic heritage and tradition and collective experience in host countries.

한국어

재외한인의 거주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적응양식과 민족정체성은 지역과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공통점들을 보이고 있다.
첫째, 이주 초기에는 다수집단의 사회적 차별과 배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지만 한인 특유의 근면성과 신분상승에 대한 강한 욕구로 인해 점차 사회의 중산층으로 진입한다. 그러나 한인들이 완전히 주류사회에 동화되어 상류층으로 진입한 경우도 드물기 때문에 거주국 민족계층 체계에서 중간계층에 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둘째, 이민자와 소수민족에 대한 사회적 차별로 인해 한인들은 정치, 군사, 공직 분야로의 진출을 포기하고 상대적으로 차별의 소지가 적고 개인의 능력과 노력 여하에 따라 신분상승을 이룰 수 있는 자영업 분야에 참여하게 된다. 자영업 중에서도 다수지배집단 성원들이 경시하거나 기피하는 분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이민 1세대가 자영업 등을 통해 축적한 물적 자본을 자녀교육에 투자하여 2세, 3세들이 전문직, 화이트칼라직에 종사하여 주류사회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한다. 자영업과 자녀교육의 기회는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한인들도 거주국의 대도시에 집중해서 거주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한인들은 언어적·문화적 동화에도 불구하고 강한 민족정체성과 애착을 유지하고 있다. 민족성은 단지 상징적 의미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업, 결혼, 교우관계, 신앙 등 자신의 생활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갖고 사회관계의 중요한 기초가 된다. 하지만 이들의 민족정체성은 전적으로 한민족의 혈통과 전통문화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거주국에서의 집단적 경험이 함께 강조되는 이중정체성의 성격을 띤다.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조선족
1. 이주와 정착
2. 인구학적 특성
3. 지리적 분포
4. 사회경제적 특성
5. 민족정체성
Ⅲ. 독립국가연합의 고려인
1. 이주와 정착
2.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3. 우즈베키스탄의 고려인
4. 러시아의 고려인
5. 민족정체성
Ⅳ. 재일한인
1. 이주와 정착
2. 인구학적 특성
3. 지리적 특성
4. 사회경제적 특성
5. 민족정체성
Ⅴ. 재미한인
1. 이주와 정착
2. 인구학적 특성
3. 지리적 특성
4. 사회경제적 특성
5. 민족정체성
Ⅵ. 캐나다의 한인
1. 이주와 정착
2. 인구학적 특성
3. 지리적 특성
4. 사회경제적 특성
5. 민족정체성
Ⅶ. 결론

저자정보

  • 윤인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