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Network Villag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twork village(invil) introduction effectiveness. The effectiveness analysis include to quality of life, local economics, digital divide, regional community. This study used to data by focusing on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rural village residents. The samples was composed of 196 rural village residents from 4 different invil. Possible factor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low interest level of rural residents, the inadequacy utiliza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insufficiency of information education. There is an policy intere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continuous efforts of the invil residents. This has several limitations in that sampling couldn't secure statistical representation of all the invil. Additionally, study results are not likely to be generalized, due to subjective perception of pollees.
한국어
본 연구는 2001년부터 정부가 농어촌마을을 비롯한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정보화시범마을을 도입한 이후에 어떤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경상북도 정보화시범마을로 하였고, 분석지표는 삶의 질 향상, 지역경제 활성화, 정보격차 해소, 지역공동체 형성 등 4가지 지표를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해 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적인 효과성 검증 결과, 정보화시범마을 도입 후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가장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입 시기별 효과성 분석 결과, 여러 항목에서 2001년도 정보화시범마을이 2003년도 정보화시범마을에 비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해서는 건강 및 의료, 문화 활동에 있어서, 그리고 정보격차의 해소와 관련해서는 ‘정보화수준’과 ‘정보수집 및 교환의 용이’ 에 있어서,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전자상거래’와 ‘새로운 유통시장의 개척’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지역공동체 형성과 관련해서는 ‘마을 선정 후 자긍심’, ‘동호회회원과의 정보공유’, ‘이웃 간에 친근감’에 있어서 2001년이 2003년보다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 ‘마을체험활동의 증대’에 있어서는 2001년보다 2003년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II. 정보화시범마을의 의의와 필요성
1. 정보화시범마을의 의의
2. 정보화시범마을의 필요성
III. 분석틀 및 조사 설계
1. 분석지표의 설정
2. 분석틀의 설정
IV. 실증적 분석
1. 전체적인 효과성 검증
2. 정보화마을 도입 시기별 효과성 분석
V. 결론 - 분석결과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