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적 위기상담으로서 오구굿 - 죽음에 대한 한국적 위기목회상담의 과제 -

원문정보

Challenges to Korean Crisis Pastoral Counseling with Death - Based on an Analysis of Oku-goot as a Traditional Crisis Intervention -

반신환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제13호 2007.09 pp.107-12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aditionally, in Korea, Shamanism played a key role in ministering those who had lost their loved o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Korean Shamanism in order to understand and enlighten the crisis pastoral counseling in the Korean Protestantism. Therefore, the Oku-goot in the youngnam is analyzed in this paper in order to find out what is needed in the crisis pastoral counseling with tragic loss of their family members.
Therapeutic mechanism found in the Oku-goot includes empathetic understanding, reframing, catharsis, communal sharing, and reconciliation. In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no tragic death is excluded. In the reframing, survivors understand the death and its after-world. In the catharsis, intense anxiety is provoked and relieved dramatically and repeatedly. And repressed
emotions are expressed indirectly by the shamans. In the communal sharing, the survivors share their tragic loss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reconciliation, the survivors recover the normal relationships with the lost one and thereafter separate themselves from the dead functionally.
There are challenges to the Korean crisis pastoral counsel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Oku-goot. Four challenges a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include all kinds of loss. No tragic death such as suicide cannot be exclu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uce intense anxiety and expand the term of counseling. Social networking to support the survivors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express themselves directly in public. Last, it is necessary to include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crisis pastoral counseling. They are encouraged to express themselves directly. And they need to understand their immunity to the tragic loss.

한국어

자살과 테러에 대한 생생한 보도가 증가하면서 죽음에 대한 지각이 증가하고 있다. 죽음의 외상이 개인과 공동체를 위협하는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기에 대한 전통적 대처방법은 주로 무교에서 제공했다. 그러므로 위기상담으로서 동해안 오구굿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위기목회상담의 과제를
분석한다. 오구굿에 나타나는 위기상담의 기제로 공감적 이해를 통한 인정과 수용, 외상의 원인을 외부로 돌려서 심리적 충격을 경감하는 외재화와 인지적 재구조화, 감정해소, 상실의 공유지각, 그리고 갈등을 해소하고 우리라는 정의 관계를 회복하는 화해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기제가 우리나라의 위기목회상담에도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다원화된 사회에서 위기목회상담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과제로 외상적 죽음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수용, 적극적 언어표현을 통한 감정해소와 사회적 조력과 지지의 공존, 그리고 청소년과 아동의 감정해소와 책임한계지각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Ⅱ. 무교의 기능 : 약자의 보살핌
 Ⅲ. 영남의 오구굿
 Ⅳ. 애도의 과정
 Ⅴ. 오구굿과 위기개입 : 종교적 위기개입의 특징과 과제
 Ⅴ. 결론 : 죽음에 대한 위기목회상담의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반신환 Shinhwan Pan. 한남대학교 교수, 실천신학, 기독교상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