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대 九州 海岸島嶼와 동아시아의 교류

원문정보

古代九州の海岸島嶼と東亞細亞の交流

고대 구주 해안도서와 동아시아의 교류

李在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九州(규슈) 해안 도서지역의 대외 교류는 지리적 특성상 韓半島와 中國 방면과의 교류가 주된 형태였다. 그 중에서도 한반도와의 교류는 그 역사가 오래되었다. 지리적으로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對馬(쓰시마)島와 壱岐(이키) 라인을 매개로 하여 한반도 남부와 일본열도 간의 왕래가 시작되었으며 그 교류의 始原은 先史時代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본격적인 교류는 彌生(야요이)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전개되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교류로 인하여 비로소 야요이 시대 자체가 성립할 수 있었다. 농경문화의 전래와 청동기․철기문화의 이식으로 상징되는 일본열도의 야요이 문화는 종래의 縄文(죠몬) 문화에 기초해있던 왜인사회에 커다란 변혁을 가져왔다. 그 과정에서 対馬를 비롯한 九州 北部
의 도서해안 지역은 큰 역할을 하였다.
4세기 이후 국가형성 단계의 일본열도는 주로 한반도 諸國으로부터 많은 先進文物을 제공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열도의 관문에 해당하는 九州 지역은 畿内(기나이) 야마토 王権에게 대단히 중요하였다. 야마토 조정은 畿内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이들 지역이 사적으로 한반도 諸國과 결탁하는 것을 경계하였다. 특히 신라에 대한 경계감은 대단하여 신라와의 사적 밀통 행위를 끊임없이 경계하였다. 6세기 초 신라와 九州 토착세력의 연계로 발발한 소위 磐井(이와이)의 乱, 9세기 이후의 新羅海賊의 출현과 그들과 결탁하려는 지방 세력의 등장 등의 사례는 畿內 지배층의 경계심이 기우가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五道列島 및 九州 南部의 소위 南島 지역은 지리적 위치상 唐과의 교류관계에서 그 존재감을 과시할 수 있었다. 특히 遣唐使의 왕래에 이들 지역들은 遣唐船의 주된 寄港地로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중앙정권과의 공적인 관계와는 별도로 이들 도서지역의 現地住民과 新羅의 해상세력 및 唐의 商人들 사이에는 사적 결탁 관계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일본어

九州の島嶼地域の對外交流は. して韓半島との交流と中國との交流といった両方面から行われてきた. に韓半島との交流はその歷史がひさしい. 的に韓半島ともっと近くあるのは對馬島であった. この對馬島—壱岐ラーインにそって. 島の南部と日本列島との往來が始まり. 交流の始原は先史時代にまで遡る. し. と列島とのより本格的な交流は . 彌生時代に入ってからのことであった. より正確に言えば. この交流によって始めて弥生時代そのものが成立したわけである. 農耕文化の傳來や靑銅器․鐵器文化の移植に象徵される日本列島の弥生文化は. 従来の縄文文化に基づいていた倭人社會に大きな變革をもたらした. その過程で. 対馬を始めとした九州北部の島嶼沿岸地域の役割は. 決して無視できないものであった. 紀以降の國家形成期における日本列島は. して韓半島の諸国から多くの先進文物を将来してきた. ため. 列島の關門にあたる九州地域はㆍ 畿内のヤマト王権にとって非常に重要であった. ․新羅․伽倻と日本列島の交流にさいして. やその沿岸部の架橋の役割というのは相変わらずであった. ト朝廷は. 畿内から遠く離れているこれらの地域が. 私的に向う側の政治勢力とくに新羅と密通することを絶えず警戒していた. 紀始め頃のいわゆる磐井の乱や. 紀以降の新羅海賊の出現や彼らと結び付いていく地方の在地勢力の登場は. いうことが中央の朝廷からすれば. な脅威になりかねないものであったことを示す.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九州 해안도서 지역의지정학적 특성
 Ⅲ. 원시—야요이 단계의 교류
 Ⅳ. 일본 고대국가와 九州연안일대
  1. 대마도—이키 라인을 매개로 한 교류
  2. 九州 남방 도서지역의 교류 관계
 Ⅴ. 맺음말
 【參考文獻】
 <日文要旨>

저자정보

  • 李在碩 이재석.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일본고대사 및 고대 동아시아 관계사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