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후기 자본주의 정당성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사회과 교육과 관련하여)

원문정보

Legitimation in late capitalism and the role of communication - for social studies -

이호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is propos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legitimation in late capitalism. I have sought to prove that practical guestions can be treated discursively. It is an open guestion whether in complex societies motive formation is actually still tied to norms that require justification, or whether norm systems have lost their relation to truth.
In early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the problems of survival and legitimation was overcomed by scientific-technological revolution. The sciences eventually estabilished a monopoly on the interpretation of outer nature; they devalued inherited global interpretations and transformed the mode of faith into a scientific attitude that permits only faith in the objectivating sciences.
But rapid growth process of advanced capitalist societies have confronted world society with problems that cannot be regarded as crisis phenomena specific to the system, although the possibility of dealing with these crises are specially limited by the system.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ake place within structures of linguistic intersubjectibity. The
motive for readiness to conform to a decision making power still indeterminate in content
is the expectation that this power will be excercised in accord with legitimation norms of
action. The ultimate motive for readiness to follow is the citizens that he could be discursively convinced in case of doubt.
Communicative learning process lead to students to open their motivational structures.
They are also opened to each others and interpretive status all of them. From this reflection, they follows rationaly motivated agreement and consensus on a recommended norm. This process can be construct his and their knowledges and values. The cognitive component of norms is transformed in the prices of time and discursevely redeemed, that is grounded in consensus of participants through argument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후기 자본주의에 나타나는 정당성 문제를 합리적 의사소통과정을 통하여 해결해 보고자 계획된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신의 정당함이 인식될 때 자신감이 생기고 행복으로 충만하게 된다. 사회도 마찬가지로 구성원들이 정당하다고 인정할 때 안심하고 삶을 살아갈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후기 자본주의 사회는 해결하고 넘어 가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다. 물질적으로 불균등한 문제에서부터 환경의 문제까지 하나도 게을리 할 수 없는 것들이다. 이 문제를 등한시 하면 우리의 생존과 직접 연관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이 문제해결을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동원하여 부분적 만족은 얻었지만 총체적관점에서 볼 때 갈등의 골은 더 깊어져 가고 있다. 실증주의적 방법은 현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점에 왔다. 물론 생산력의 발전에 기여는 하였지만 여타 더 중요한 사회문제들 예를 들면 빈부의 격차, 인간의 해방문제, 국제 불균형과 같은 문제들을 초래하였다.
우리는 이 문제들을 올바르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열어 놓고 토의를 통하여 합의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 토의는 상호 주관성을 존중하기 때문에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사라진다. 자기의 상황에서 이 세계상을 해석하고 이해할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에서도 이해하려고 한다. 이 과정 속에서 공동의 전선이 형성되고 점차 지평융합이 일어난다.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 와서는 체계 자율성이 증대해 가고 시민사회는 점차 개방적이며 동기구조는 점차 강화 된다. 지금까지 은폐되었던 규범구조가 점차 폭로됨에 따라 상호 이해없이 정당성은 확보될 수 없다. 학교 교육과정이 사회의 흐름에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우리의 미래는 고통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의사소통적 교육 방법은 현대사회의 문제해결에 가장 적당한 방법이다. 그것은 실증주의, 해석학적 비판이론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이 방법은 우리의 관심 영역을 모두 포섭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교실은 열린 교육의 장이되고, 접근 방법은 통합적이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이 터하고 있는 구성주의 철학도 실천할 수 있다.

목차

내용 요약
 Ⅰ. 서론
 Ⅱ. 후기자본주의 정당성문제
  1. 정당성
  2. 이성적 상황과 합리적 의사소통행위
  3. 후기자본주의의 문제들
 Ⅲ. 의사소통의 과정으로서 교육 현장
  1. 의사소통적 학습활동은 열린 교실에서만 가능하다.
  2. 합리적 의사 소통행위는 인지적 구성주의를 뛰어 넘을 수 있다.
  3. 합리적 의사소통 방식의 수업은 그 자체가 통합적 교수방법이다.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호도 Lee, Ho Do. 진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