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주체자들의 금기주제 토론수업 수용성 비교 분석

원문정보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cceptance by Educational Subjects for the Controversial Taboo Topics in Social Studies

임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increasing realistic possibilities of an issue-centered curriculum and providing bases to overcome its obstacles by comparing the different recognition among educational subjects such as students,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when
taboo topics are dealt in social studies of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cceptance of each educational subject on each taboo topic is as follows:
In the acceptance of each educational subject on each taboo topic, a student group and a teacher groups showed a positive attitude and school administrator groups, the most negative attitude.
Second,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recognition base of acceptance to each taboo topic among educational subjects a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differences of acceptance to a taboo topic on political ideologies are subjects' value factors and curriculum/knowledge factors. Also, to each fact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 were less negative than school administrators.
Third, among, educational subjects, priority of each taboo topics is as follows:
Every educational subjects selected economic and family areas as number one priority
and sex, marriage and political ideology as less important one.
To taboo topics on an education area, a student group and a parent group were more sensitive than a teacher group. The different acceptance on taboo topics among educational subjects requires the more study on discussion of taboo topics in a social study clas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금기 주제를 중등사회과에서 토론수업으로 다루고자 할 때 학교의 교육주체들 즉, 학생, 교사, 학교운영자, 학부모간의 인식차이를 비교함으로서, 쟁점 중심 교육과 정의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쟁점 중심 교육과정의 실현성을 높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및 대전광역시의 학생 240명, 사회과 교사 210명, 학부모 198명, 한국교원대에서 교장 연수중이었던 대상자 182명을 각각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각 영역별 금기주제 토론의 수용성의 정도는 상대적으로학생집단과 교사집단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운영자집단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서 쟁점 중심 교육 과정의 구현을 상대적으로 지지하는 주체는 학생집단과 교사집단이며, 좀더 냉소적인 주체는 운영자집단이다.
둘째로 교육주체간 각 영역의 금기주제 토론 수용의 인식 근거(요인)에 대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치요인과 교과․지식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에 대하여 학생집단과 학부모집단이 교사집단과 운영자집단보다 덜 부정적이다. 그리고 각 요인에 대하여 가장 부정적 집단은 운영자집단이다.
셋째로 교육주체 간에 금기주제 토론에 대한 선택 우선순위에 대한 것을 살펴보면 교육주체 간에는 경제영역과 가족영역의 금기주제를 모두 우선순위로 선택하였으며 성․결혼영역과 이데올로기영역의 금기주제는 낮은 순위로 선택하였다.
교육주체들 간에 금기주제의 토론에 대한 상이한 수용성은 금기주제 토론에 대한 사회과교육의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목차

내용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Ⅱ. 금기 주제 영역의 재유형화
  1. 쟁점 영역의 분류
  2. 금기 영역과 쟁점 선정 준거
  3. 금기주제 선정근거
 Ⅲ. 금기주제 토론 수업에 대한 교육주체간의 인식
  1. 금기주제 토론에 대한 수용성
  2. 영역별 금기주제 토론 수용의 인식 근거
  3. 금기주제에 대한 선택 우선 순위
 Ⅳ.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경수 Im, Kyung-Soo. 공주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