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사회과의 역사 수업에서 주제 중심적 내용 재구성 방안

원문정보

The Plan of Reconstruction as Contents of Thematic-centered for History Lessons

이운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lan for unit reconstruction as a thematic-centered method.
It is based on a way of contents-formation for History study in order to compose the contents for a sixth-grade first-term text book, and for History study that is effective in primary school Social Studies. Also, it tries to escape the "chronicle composition" method of the current textbook, for studying History in a thematic-centered method which the curriculum strives to accomplish.
Reconstruction of the unit using the thematic-centered method may result in the effects described below :
First, this is reconstruction of the textbook which is able to reflect an idea of the present curriculum. It makes a point which is suitable in the advancement of history consciousness of the elementary students.
Second, it brings a decrease in study volume by using a thematic-centered, character
studying method, which makes it possible for deeper learning.
Third, it avoids the repetitive studying that continues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is can lead to students' pursuing interests in History through further activities and
utilizing critical thinking activities, since a thematic-centered method of history study is
used.

한국어

현행 초등학교 역사 영역의 학습에서 교과서의 내용 구성은 고조선에서부터 삼국, 고려, 조선, 대한민국에 이르는 연대기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 방식으로 인하여 학습자에게는 내용 량이 많고 어려워 학습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가 쉽지 않으며, 교사들에게도 지도하기가 어렵고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역사 학습의 내용 조직 방식에서 그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과에서 효과적인 역사학습을 위하여, 현행 교과서의 연대기적 구성방식을 벗어나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주제 중심의 인물사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초점을 둔다. 여기서는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교과서의 구성 내용을 역사 학습의 내용 조직 방식에 근거한 주제 중심적 방법으로의 단원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 중심적 내용의 단원 재구성이 지니는 기대 효과로는 주제 중심의 인물사 학습인 교육과정의 정신을 살릴 수 있는 교과서의 재구성이며, 이는 초등학생의 역사의식을 길러주기에 적합한 단원 구성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목차

내용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역사 학습의 구성과 내용 조직의 관점
  1. 역사 학습의 내용 조직 방법
  2. 초등학교 단계에서 역사의식의 발달
 Ⅲ. 주제 중심적 방법에 근거한 단원 재구성 방안- 6학년 1학기, 1단원을 중심으로 -
  1. 역사 관련 교육과정과 교과서와의 관련
  2.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의 재구성을 위한 단원의 내용 분석
  3. 주제 중심적 방법의 단원 학습을 위한 재구성의 관점
 Ⅳ. 주제 중심의 단원 학습을 위한 재구성의 실제
  1. 교육과정의 ‘단원1. 우리 겨레, 우리 나라’에 대한 내용 분석
  2. 교과서의 ‘단원 1. 우리 민족과 국가의 성립’에 대한 지도 계획
  3. 교과서의 ‘단원 1. 우리 민족과 국가의 성립’에 대한 재구성
  4. 주제 중심의 역사 학습을 적용한 수업 실제(예시)
 Ⅴ. 맺으며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운발 Lee, Woon-Bal. 대구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