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寒暄堂 金宏弼의 道學思想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oHak Thoughts of HanHweonDang Kim Kweng-Pil

한훤당 김굉필의 도학사상

이상성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제26집 2007.03 pp.283-31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nHweonDng Kim Kweng-Pil is the one who settled down the fundamental nature of Dohak, which is the trait of Joseon Dynasty's Confucianism. Dohak, which was derived from PoEun Jeong Mong-Ju and transmitted to Kim Sook-Ja and Kim Jong-Jik, was transferred to him and then he confirmed the traditional line of Korean Dohak by conveying it to JeongAm Jo Gwang-Jo.
Especially, Kim Kweng-Pil conducted a Dohak movement regarding the studies on scriptures which were focused on 『Sohak』 unlike existing Dohak's scholars who hadn't separated the studies on scriptures from Sajang - studies on sentences. Thereby, he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s Confucianism. After that, Dohak has converted into the study of practice.
Although the former Dohak scholars had studied various kinds of Confucian scriptures, he demonstrated by himself that it was possible to accomplish the study of practice with only『SoHak』. Therefore, he played a key role to determine the category of studies for prospective scholars.
These are the main points of his Dohak theory; the Means and the End of the Truth(道), a world view which is focused on tranquillity, and last, deliberation and scholarship for oneself as the essence of studies and behaviors.
His literary work of was the pinnacle of his thoughts which was the principal point of self-training and contact of all things.

한국어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1454~1504)은 조선조 유학의 특징인 도학(道學)의 기본 성격을 결정한 인물이다. 포은 정몽주(鄭夢周)로부터 비롯되어 김숙자(金叔滋), 김종직(金宗直)으로 전해진 도학사상은 그에게 이어졌고, 그는 다시 정암 조광조(趙光祖)에게 전해줌으로써 한국 도학의 통서(統緖)를 확정지었다.
김굉필은 특히 경학(經學)과 사장(辭章)을 분리하지 않았던 기존의 도학자들과는 달리 『소학(小學)』을 중심으로 하는 경학 중심의 도학화(道學化)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조선조 도학의 성격을 규정하였으며, 이후 도학은 실천지학(實踐之學)으로 전환을 보게 되었다.
그 이전의 도학자들은 여러 가지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공부하였으나. 그는 󰡔소학󰡕}하나만으로도 실천적인 학문이 가능하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해 보였다. 그리하여 이후의 학자들에게 학문적 범주(範疇)를 결정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그의 도학사상의 핵심은 도(道)의 체용론(體用論)과 주정적(主靜的) 세계관, 수양론적(修養論的) 인간관, 학행(學行)의 본질로서 ‘궁리(窮理)’와 ‘위기지학(爲己之學)’을 들 수 있다. 그가 쓴 <한빙계(寒氷戒)>는 이러한 그의 사상적 결정체로 수기와 접물의 요체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序 言
 Ⅱ. 寒暄堂의 學脈과 經學的 基盤
  1. 家門과 道學 入門
  2. 學脈과 道學的 統緖
  3. 寒暄堂 道學의 經學的 基盤
 Ⅳ. 寒暄堂 道學의 思想的 特性
  1. 道의 體用論과 主靜的 世界觀
  2. 心性論과 修養論的 人間觀
  3. 學行의 本質로서 ‘窮理’와 ‘爲己之學’
  4. 修己⋅接物의 요체로서 <寒氷戒>
 Ⅳ. 寒暄堂 道學의 現實的 展開
  1. 『小學』중심의 ‘道學化’ 운동
  2. 寒暄堂의 政治 入門과 現實對應
  3. ‘史禍’ 연루와 伸寃 운동
 Ⅴ. 結 語
 <참고 문헌>
 Abstarct

저자정보

  • 이상성 Lee, Sang-Seong.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