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당 전쟁문학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의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한 비교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ameness of motive and distinctions of content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권도경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제26집 2007.03 pp.151-18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d on the sameness of motive and distinctions of content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The motive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 「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is arranged as three aspects.
The first is big-eating motive The second is the ill-treatment motive of maternal uncle The third is the arms-getting motive and the swift horse-getting notiv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 나타난 모티프 상의 유사성과 그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해 중점적으로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첫째,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는 설인귀 전설은 설인귀라는 하나의 자아가 현실 세계와의 사이에서 겪는 갈등의 본질을 이 대식 화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동일한 양상을 보여준다. 대식 화소의 공유와 미의식적 유사성은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성립 및 형성 과정에 설인귀 전설이 미친 영향을, 즉 둘사이의 교섭양상의 맥을 짚어볼 수 있게 한다.
둘째,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은 거의 유사한 형태 그대로 설인귀 전설 속에서 등장하며, 서사구조 내부의 기능도 동일하다. 외삼촌 박대담은 설인귀 전설의 향유층이 특별히 흥미를 가지고 향유한 모티프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이 이 설인귀 전설의 그것과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소를 위협하는 짐승을 퇴치하고 농경을 원활하게 만드는 설인귀의 무용은 무속신앙의 관습에서 봤을 때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제의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인귀 풍속신앙 전설의 제향 구조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병기 획득 모티프가 소 몰아 밭 갈기와 큰 짐승퇴치하기 화소와 전후의 맥락 속에서 인과성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설인귀전」의 이 계열본 형성 과정에 있어서 설인귀 전설이 중요한 한 원천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설인귀정동」 42회본에는 용마 획득 장면이 등장하지 않는데다, 특별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지 않지만,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서는 이 모티프가 영웅적인 장수란 모름지기 용마를 얻어서 타고 다녀야 한다는 관념은 한국의 전통적인 아기장수 전설에 나오는 용마 모티프와 관련되어 중요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형성과정에서 아기장수 전설의 미의식을 흡수한 설인귀 전설의 용마 획득 모티프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대식 모티프
 Ⅲ. 외삼촌의 박대 모티프
 Ⅳ. 병기 획득 모티프
 Ⅴ. 용마 획득 모티프
 Ⅵ. 나오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도경 Keon do kyung. 동의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