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빈계무신 이데올로기의 전승 과정과 대하소설에의 수용 양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an Ideology of "A Hen Does Not Sing at the Crack of Dawn" and the Aspects of its Affecting Saga Novels

장시광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제24집 2006.06 pp.113-18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designed to trace the origin of an Ideology of "A Hen Does Not Sing at the Crack of Dawn" and its transmission process in China and Korea and to consider its aspects of being embodied in saga novels. The ideology is one of the ideologies involved with women seen in old saga novels.
A phrase "A Hen Does Not Sing at the Crack of Dawn" is seen in Book of History,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King Mu, king of the Zhou dynasty of ancient China, mentioned it when he conquered King Zhou, king of the Eun dynasty, saying it is said by old people. When King Mu first mentioned it, its meaning refers to that a husband should not follow what his wife says.
After that time it transmitted into three meanings in China; criticizing women's indirect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warning against carnal pleasures, criticizing women's direct participation in politics, warning against a woman through an idea of dividing a woman and a man. The first case refers to that a king follows what a second wife says or a husband infatuated by his wife follows what she says. The second case refers to that an empress or a wife of king like Empress Wu Zetian of the Tang dynasty rules its country instead of a king. The third case refers to dividing a woman and a man and showing an idea evidently, which became a kind
of a theory. The first two are statements coming from experiences while the last one became a theory based on those experiences.
All of three cases were also transmitted into Korea from China. Among them, the second one that criticizing women's direct participation in politics is most strongly was supported. Queen Sondok, Queen Jindok, and Queen Jinsung of Shilla were mentioned as examples.
Saga novels coming out in late Chosun dynasty often have a phrase "A Hen Sings at the Crack of Dawn." It is often, especially, seen in Myonghangchungeurok and Yunhachungsammuncheurok. It is used in some situations as the following; when a wife tells her husband her knowledge or opinions, when a wife tries to control her husband, when a wife strongly asserts and participating in family events like a wedding ceremony. Sometimes a narrator or a man tells but a woman herself often tells. This is used in a different way but the phrase "A Hen Does Not Sing at the Crack of Dawn" is mentioned as a meaning that an empress expresses her opinions to a king or participates in politics herself. This is because the main settings of saga novels are not a palace but a home of the general gentry. And when it is thought
that women are the main readers of saga novels, women themselves state the theory dividing a woman and a man and bind themselves up. They internalize a woman-repressing ideology which men make and the situation of society that regards it right is reflected on novels.
Though the phrase "A Hen Does Not Sing at the Crack of Dawn" is not seen in saga novels, sometimes the situation reflecting its meaning is folded. These cases are following. Women participate in politics themselves or their voices expands and violates men’s area. These cases have been regarded as a very undesirable thing from long time and the idea is brought into relief and formed in saga novels.
There are many other woman-repressing ideologies seen in saga novels except "A Hen Does Not Sing at the Crack of Dawn." It is required that the origin and the transmission aspects of other ideologies are considered and how they are embodied in saga novels.

한국어

이 논문은 고전 대하소설에 드러나 있는 여성 관련 이데올로기 중 빈계무신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그 유래와 중국 및 우리나라에서의 전승 과정을 추적하고 대하소설에 구현된 해당 이데올로기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牝鷄無晨이라는 구절은 유교 경서 중의 하나인 󰡔書經󰡕에 보이는 것으로서 주나라 왕인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정벌할 때 옛사람의 말이라 하며 쓴 것이다. 이 구절은 ‘암탉은 새벽에 울지 않는다’라는 뜻으로서 무왕이 처음에 사용했을 때에는 부인의 말을 남편이 들으면 안 된다는 뜻이었다.
이후 중국에서는 이 구절이 세 가지로 분화되어 전승된다. 여성의 간접적 정치 참여에 대한 비판 및 여색에 대한 경계, 여성의 직접적 정치 참여에 대한 비판, 그리고 내외론을 통한 여성 경계가 그것이다. 첫
번째는 임금이 후비의 말을 듣고 정치를 하는 경우나 남편이 아내에게 미혹되어 아내의 말을 듣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당의 측천무후처럼 황후 또는 태후가 남성 임금 대신 직접 정치를 하는 경우이다. 세 번째는 남녀를 내외로 구분지어 그 관념을 분명히 드러낸 경우로서 이론으로 정립된 것이다. 앞의 두 가지가 경험에서 우러나온 언명이라면 뒤의 경우는 그 경험을 토대로 하여 강력하게 이론화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에서 전승된 세 가지 경우가 또한 모두 전승되었다. 그 가운데 두 번째 경우, 즉 여성이 정치에 직접 참여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가장 강력한 지지를 얻었는데 그 예로서 신라의 선덕, 진덕, 진성 여왕을 들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에 산출된 대하소설에는 牝鷄司晨, 즉 ‘암탉이 새벽에 운다.’는 구절이 빈번히 등장하는데, 특히 <명행정의록>과 <윤하정삼문취빈계무신 이데올로기의 전승 과정과 대하소설에의 수용 양상 연구 115록>에 자주 등장하였다. 그 구절이 쓰이는 상황은 몇 가지로 나뉜다. 아내에게 순종과 같은 부덕을 강조하기 위해 언명되는 경우, 아내가 자신의 주장을 과도하게 펴서 혼례 등 집안의 중대사에 간여하는 경우, 여성이 간접적으로 남성의 公事에 간여하는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서술자나 남성이 발화하는 경우도 있으나 많은 경우 여성 자신이 발화하고 있다.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빈계무신이 주로 황후가 남성 임금에게 자신의 견해를 밝히거나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형태로 언명된 것에 비하면 그러한 것이 대폭 줄고 다른 경우가 늘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된 까닭은 우선 대하소설의 주된 배경이 궁궐이 아니라 일반 사대부의 집안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더불어 대하소설의 주된 향유층이 사대부가 여성이라는 점을 고려할 수 있다. 여성 자신이 남성이 만들어 놓은 여성 억압적 이데올로기에 체화되어 그것이 올바른 것인 줄로 착각한 사회적 상황이 소설에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대하소설에 빈계무신이라는 구절이 쓰이지는 않았지만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언급되어 온 빈계무신의 의미에 걸맞은 상황이 전개된 경우가 있다. 여성이 정치에 직접 간여하는 경우나 여성의 발언권이 커서 남성의 영역을 침범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은 전통적으로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대하소설에는 그러한 통념이 부각되어 형상화되어 있는 것이다.
대하소설에 드러난 여성 억압적 이데올로기는 빈계무신 외에도 적지않다. 앞으로 다른 이데올로기의 유래 및 전승 양상을 고찰하고 그것이 대하소설에 구현된 양상을 더불어 살피는 작업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 론
 2. 牝鷄無晨 이데올로기의 유래
 3. 빈계무신 이데올로기의 중국에서의 전승 양상
  3.1. 전승 및 분화의 시작
  3.2. 전승 및 분화의 양상
 4. 고려와 조선에서의 빈계무신 이데올로기의 전개 양상
 5. 대하소설에 구현된 빈계무신 이데올로기의 양상
  5.1. 빈계무신 구절의 수용과 그 맥락
  5.2. 빈계무신 이데올로기의 수용과 그 맥락
 6. 결 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시광 Jang, Si-gwang. 아주대학교 강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3,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