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윤지당의 한문 글쓰기 방식과 그 의미 — 조선후기 여성의 학문적․문학적 토양에 대한 고찰로서 —

원문정보

Yim Yun-ji Dang's Chinese writings and their meanings -Considering the academic and literary soil for female writers late in the Joseon Dynasty-

김남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aimed to consider male illustrious officials' evaluation as to the writings and scholarship of Yim Yun-ji Dang, a female philosopher in the Joseon Dynasty. Ultimately,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in which environment (literary and academic soil) women's writings were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Yim Yun-ji Dang was one of the few women who entered the spheres of studies and philosophy in the Joseon Dynasty and created some ‘Chinese’ writings. Her writings are mainly Chinese prose and usually deal with the theories of Sung Confucianism and moral cultures including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human nature, mental culture, and practices. In her writings, Yun-ji Yim uses definite statements and talkativeness to unreservedly develop her arguments. Moreover, she discloses all her emotions including anger directly related to her evaluation of male figures in history. In particular, her ways of writings and statements are more strongly applied when Yim Yun-ji Dang sets forth her major philosophical and academic positions or her logic that anyone can be a sage if he/she does not stop making endeavors.
The significance of Yim Yun-ji Dang's writings is clearly presented when consideration is also taken into the estimation of her writings given by her contemporary people and later generations. People approves Yim Yun-ji Dang's scholarship and writings were a sign of the prosperity of her own family (Yim family) and her husband's family (Pyeong-san Shin family) and of onfucianism and Confucian edification in her times. To some extent, such approval demonstrates her age's environment for women/ Chinese language/ writings. On the other hand, such approval also shows that male illustrious officials still negatively described Yim Yun-ji Dang's active academic activities and emotional expressions by calling them ‘what emerges from low and dark places,’ ‘a low voice,’ or even ‘continual negation and hiding.’ In other words, Yim Yun-ji
Dang's scholarship and writings contradicted womanly virtues which make much of humble and clement statements or silence. Her writings were limitedly approved because they were ‘what to be hided and denied at most.’
In this connection, the present author finds that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a focus on Yim Yun-ji Dang's ‘benign-ness and gentleness’ and ‘womanliness’ and her nature as perfect materialization of ‘female virtues’ and a stress on her own determined statements in her writings requesting to regard her as ‘not only a woman but a human being practicing human virtues.’
Conclusively, the gap between Yim Yun-ji Dang's actual writings and people's evaluation of her demonstrates on which soil female studies and writings stood in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임윤지당은 조선시대에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학문과 철학에 영역에 진입하였으며 그 결과물을 한문 글쓰기를 통해 남겼다. 그녀의 글쓰기는 한문을 표기체로 하는 산문에 집중되어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이기(理氣)와 심성(心性), 수양과 실천 등 성리학적 이론과 수양론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윤지당은 ‘여성철학자’로 호칭되며 매우 특별한 존재로 평가받고 있다.
윤지당이라는 존재를 통해 조선조 여성들의 글이 논리적 사고에 바탕한 학문적 세계를 구축하는 경지에 이르렀음을 특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기에 윤지당은 특수한 사례이면서도 또 조선 후기 여성들의 학문과 글쓰기가 이룩한 수준을 보여 주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로 지목되어 왔다.
그렇다면 이러한 임윤지당의 학문과 글쓰기를 ‘보는’ 당대 사람들의 시각은 어떠했을까? 그리고 윤지당이 이룬 경지에 대하여 찬탄과 수긍을 보였다면 그것의 실질적인 내용은 무엇이었을까? 이 글은 문자[한문]와 학문, 논리와 시비판단 같은 이른바 남성 고유의 것이라 인식되던 영역에 진입한 윤지당과 그녀의 글쓰기를 당대의 사람들이 어떻게 보았는지, 그 문제를 다시 짚어 보고자 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조선시대에 여성의 학문과 글쓰기가 어떠한 토양 위에서 이루어졌는지, 여성의 학문과 글쓰기가 처했던 환경은 어떤 것이었는지 검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윤지당은 성리논설류의 글을 통해 확언과 다변으로 자신의 논리를 거침없이 드러내었다. 또 역사 속의 남성 인물들을 평가하면서는 인물에 대한 평가와 직결되는 오호의 감정과 분노를 전혀 감추지 않고 드러내었다. 특히 이러한 글쓰기-발화의 방식은 윤지당의 중요한 철학적․학문적 입지라고 할 수 있는 내용, 즉 누구나 노력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는 논리를 강조하는 것으로 강력하게 작동되고 있었다. 즉 윤지당은 하나의 이에 근거한 만물의 근원적 동질성을 철학적 기반으로 삼아 부단한 학문적 수양에 따라 ‘나’에게도 근원의 이를 회복하고, 성인의 경지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는 논리를 선언적으로 전개했다.
이러한 윤지당의 글쓰기는 그녀의 글쓰기를 평가하는 윤지당 당대와 후대의 평가와 함께 살펴 보면 그 의미가 더 선명하게 살아난다. 윤지당의 학문과 글쓰기는 그녀의 친정인 임씨 일문과 시가인 평산 신씨 가문의 번성, 그리고 당대 유학과 교화의 흥성을 보여 주는 증표로 인증되었다. 이러한 인증 자체가 여성/한문/글쓰기를 바라보는 시대 토양의 수준을 어느 정도 보여 준다. 동시에 이러한 승인은 한편으로는 남성 사대부들이 여전히 윤지당의 활발한 학문적 태도와 감정의 고양을 ‘낮고 어두운 곳에서’ ‘낮은 목소리’로, 게다가 ‘부단한 부정(否定)과 감추려는’ 것으로 기술하는 태도와 공존하고 있다. 즉 윤지당의 학문과 글쓰기는 겸손하고 온화한 발성과 침묵을 중시하는 부덕(婦德)과 상충하는 것으로서 ‘감추고 물려야 할’이라는 것이었다는 제한적 승인 속에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윤지당의 ‘안돈과 안존’함, ‘여성다움’을 강조하고 그녀를 완전한 ‘부덕’의 총체로 강조하는 것은, 그녀가 ‘자신을 다만 부녀자일 뿐이 아닌 수련하는 인간으로’ 보아 달라던 단호한 발화, 그녀의 글쓰기와 일정한 거리를 노정하게 된다. 이렇듯 윤지당의 실제 글쓰기와 그에 대한 평가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은 조선시대 여성의 학문과 글쓰기가 처해있던 토양이 어떤 것이었는가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윤지당의 글쓰기 방식과 논리 전개
  1. 확언과 다변(多辯)∶‘나-여성’이 ‘성인’이 될 수 있음
  2. 감정의 격앙과 선언∶도덕적 결단과 용기
 Ⅲ. 윤지당의 학문과 글쓰기에 관한 기록-평가
  1. 안돈한 부덕, 그리고 ‘밤’과 ‘낮은’ 목소리
  2. 가문과 유학 흥성의 좌표
 Ⅳ. 맺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남이 Kim, Nam-Yi. 이화여대 국문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