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포늪과 토평천의 식물상

원문정보

Flora in Woopo Wetland and Topyeong Stream

오경환, 김철수, 이팔홍, 손성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lora of the vascular hydrophytes and hygrophytes and the change of flora according to the fluctuation of the water level before and after flooding were investigated from September 2002 to October 2003 in Woopo Wetland and Topyeong Stream,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Korea. The flora of the Woopo, Mokpo, Sajipo, Jokjibyeol, Topyeongcheon Upstream, and Topyeongcheon Downstream were composed of 256, 242, 265, 177, 201, and 180 taxa, respectively. The flora of total study area was 86 families, 232 genera, 302 species, 42 varieties, 6 form, or total 350 taxa. Among them, hydrophytes, hygrophytes, and others were 36, 96, and 218 taxa, respectively. The life form of the vascular hydrophytes was classified as 19 taxa of
emergent plants, 6 taxa of floating-leaved plants, 4 taxa of free-floating plants, and 7 taxa of submersed plants. The specified wil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Environment were Euryale ferox, Hydrocharis dubia, Persicaria amphibia,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And Aristolochia contorta was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The floras of the naturalized plants of the Woopo, Mokpo, Sajipo, Jokjibyeol, Topyeongcheon Upstream, and Topyeongcheon Downstream were composed of 27, 25, 35, 21, 26 and 24 taxa, respectively. The flora of the naturalized plants of total study area was 43 taxa, this equalled 12.3% of total vascular plants in the study area. And
165~244 taxa were surveyed in the each study area before flooding, total 299 taxa, and 86~212 taxa after flooding, total 299 taxa. Among them, hydrophytes, hygrophytes, and others were 33 and 29, 93 and 83, 183 and 187 taxa before and after flooding,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flooding, the species number of emergent plants, floating-leaved plants, free-floating plants, and submersed plants was nearly the same.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Ministry of Forest, and Ministry of It was guessed that vascular hydrophytes and hygrophytes adapted to fluctuation of the water level in the study area.

한국어

우포늪 및 우포늪과 수문학적으로 연관된 토평천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과 홍수시 유량 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우포 256종류, 목포 242종류, 사지포 265종류, 쪽지벌 177종류, 토평천 상류 201종류, 토평천 하류 180종류 등으로서 모두 86과 232속 302종 42변종 6품종 등 총 350종류가 확인되었는데, 수생식물 36종류, 습생식물 96종류 및 육상식물 218종류였다. 수생식물을 생활형별로 분류한 결과는 정수식물 19종류, 부엽식물 6종류, 부수식물 4종류, 침수식물 7종류 등이었다. 우포늪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중 법적 보호종 및 기타 보호 가치가 있는 식물로는 가시연꽃, 자라풀, 창포, 쥐방울덩굴, 물여뀌 등이었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우포늪 27종류, 목포 25종류, 사지포 35종류, 쪽지벌 21종류, 토평천 상류 26종류 및 토평천 하류 24종류이며, 우포늪 전체로는 43종류였는데 이는 우포늪 전체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의 12.3%에 해당한다. 홍수시 유량 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 변화 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장마 전․후를 중심으로 관속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장마 전에는
165~244종으로서 총 299 종류였고, 장마 후에는 86~212종으로서 총 299 종류로서 6개 조사 지소 모두 장마 전의 분포 종수가 장마 후보다 많았으며, 전체 분포 종수는 장마 전 및 후 모두 299 종류로 같았다. 장마 전 및 장마 후를 기준으로 관속식물의 생활형별 분포 종수를 조사한 결과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육상식물의 장마 전 분포 종수는 33, 83 및 183종류였고, 장마 후에는 29, 83 및 187종류였다. 그리고 수생식물의 경우 생활형별 분포 종수도 장마 전과 장마 후의 분포 상황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장마 전과 장마 후의 전체 분포 종수 및 생활형별 분포 종수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은 조사 지역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식물들이 대부분 늪의 수위 변동에 적응된 종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포늪과 토평천의 습지가 훼손될 경우 각종 악영향이 예상된다.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조사 장소 및 방법
  2.1 조사 장소
  2.2 조사 기간
  2.3 조사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식물상의 개관
  3.2 식물상의 개요
  3.3 생활형별 종의 분포 상황
  3.4 보호 가치가 있는 식물 및 위해종의 분포 상황
  3.5 장마 전․후의 관속식물 분포 상황
  3.6 버들류의 분포 상황
 4. 습지 훼손에 따른 영향 예측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오경환 Oh, Kyung hwan. 정회원⋅경상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
  • 김철수 Kim, Cheol Soo
  • 이팔홍 Lee, Pal Hong
  • 손성곤 Son, Sung Go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