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습지생태계 분류체계의 검토 및 적용방안 연구

원문정보

Classification System of Wetland Ecosystem and Its Application

전승훈, 이병희, 이상돈, 이용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etland ecosystem is a complex products of various erosion force, accumulation as water flows, hydrogeomorphic units, seasonal changes, the amount of rainfalls, and other essential element. There is no single, correct, ecologically sound definition for wetlands because of the diversity of wetlands and the demarcation between dry and wet environments occurs along a continuum, but wetland plays various ecosystem functions. Despite comprehensive integration through classification and impact factors there is still lacking in systematic management of wetlands.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USFWS(1979) is hierarchical progresses from systems and subsystems at general levels to classes, subclasses, dominance types, and habitat modifiers. Systems and subsystems are delineated according to major physical attributes such as tidal flushing, ocean-derived salts, and the energy of flowing water or waves. Classes and subclasses describe the type of substrate and habitat or the physiognomy of the vegetation or faunal assemblage. Wetland classes are divided into physical types and biotic types.
For the wise management of wetlands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methodology of USFWS classification system and discuss its application for Korean wetland hydrogeomorphic units already known. Seven wetland types were chosen as study sites in Korea divided into some different types based on USFWS system. Three wetland types belonging to palustrine system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Wangdungjae wetland and Mujechi wetland, but Youngnup of Mt. Daeam was different from the former two types at the level of dominant types. This fact means that setting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management of wetland is needed. Although we may never know much about the wetland resources that have been lost, there are opportunities to conserve the riches that remain. Extensive inventory of all wetland
types and documentation of their ecosystem functions are vital. Unique and vulnerable
examples in particular need to be identified and protected. Furthermore, a framework
with which to demonstrate wetland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is needed that is
sufficiently detailed to achieve the identification of the integrity and salient features of
an enormous range of wetland types.

한국어

습지생태계는 유수에 의한 침식과 퇴적활동, 수력에 의해 형성된 수문지형 단위, 계절적 변화 등 다양한 요소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습지생태계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발휘하면서, 더욱이 습지생태계 유형 자체의 다양성이 있을뿐 아니라, 유역과 같은 다른 생태계와의 경계선이 불명확한 것이 특징이다.
습지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분류와 통합적 이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고 쳬계적인 관리가 미흡하다. 과거 미국 야생동물 관리청(1979)에서 개발된 체계는 계와 아계, 강과 아강, 수영역 및 화학, 수문지형 단위, 우점 유형 등의 계층적 위계로 습지생태계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습지생태계의 체계적이고 현명한 관리 체계 수립의 일환으로 미국 야생동물 관리청의 분류체계를 심층 검토, 분석하여 기 조사된 국내의 습지생태계에 적용함으로써 국내 습지생태계에 적합한 분류체계 개발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분류 대상지로 선정된 우리나라 7개 습지생태계는 상위계급의 습지생태계 유형을 포함하였으며, 표본지점 중심의 제한적인 적용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습지생태계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3개의 소호소 습지생태계의 적용 결과에서는 무제치늪과 왕등재늪의 두 습지생태계가 수문지형 단위 체계까지는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나 우점/특정 유형이 다른 습지생태계로 분류되었다. 이에 비해 대암산 용늪의 경우 강(綱)수준에서 다른 유형으로 분류되어, 앞서의 두 습지생태계와는 다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리 및 보전 체계 정립에 있어서, 무제치늪과 왕등재늪은 동일한 수준에서 관리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훼손되어 사라져버린 습지생태계의 정확한 양은 알 수 없으나, 남아있는 습지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기회는 아직도 우리에게 있다. 무엇보다 시급한 일은 모든 습지생태계 유형의 정확한 분류와 목록 작성, 생태적 기능에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미국의 습지생태계 표준분류체계
  2.1 습지생태계의 개념
  2.2 분류체계의 특징
 3. 우리나라 습지생태계의 적용
  3.1 해안 습지생태계
  3.2 하구 습지생태계
  3.3 강변 습지생태계
  3.4 대호소 습지생태계
  3.5 소호소 습지생태계
 4. 결론 및 제언
 인용 및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승훈 Chun, Seung Hoon. 정회원․경원대학교․공과대학․도시계획조경학부
  • 이병희 Lee, Byung Hee. 비회원․경원대학교․공과대학․도시계획조경학부
  • 이상돈 Lee, Sang Don. 정회원․교신저자․이화여자대학교․공과대학․환경학과
  • 이용태 Lee, Yong Tae. 비회원․서울시 청계천복원추진본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