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is one of the biggest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Tide is typically a semidiurnal with maximum range of about 10m. The tidal flat receives large
amount of sediments from Han River system. Surface sediments for sedimentary analyses were
sampled at 83 stations in the study area in August 2003. The surface sediments consisted of five
sedimentary facies. Generally, sandy mud sediments dominated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whereas sand sediments dominated in channel and subtidal zones of the western part of Kanghwa Island. The area of sandy mud sediment extended to eastward tidal flat compared to sedimentary facies in August 1997. Sedimentary facies analysis of three core sediments from the tidal flat to the south of the Kangwha Island revealed three sedimentary facies: trough-cross-bedded sand, laminated silt, and bioturbated silt. Distribution of the facies in the cores suggested that sedimentation rates has been generally high in the margin of main tidal channel, especially in the east of the Donggeum Island. Twelve-and-half-hour anchoring survey was carried out for measurements of hydrodynamic parameters at Yeomha channel near Choji Bridge(K1) and channel near Donggeum Island(K2) in June 2003. Residual flows indicated strong ebb-dominated tidal currents. Depth-integrated net suspended sediment loads for one tidal cycle were seaward movement with 309,217.9kg/m and 128,123.1kg/m at station K1 and K2, respectively. The higher value of net suspended sediment loads at station K1 suggested that lots of suspended sediments from Han River deposited in the eastern part of tidal flat.
한국어
강화 남단 갯벌은 우리나라 서해안의 가장 규모가 큰 갯벌 중의 하나이다. 조석은 전형적인 반일주조로 최대조차가 약 10m 이다. 강화 남단 갯벌은 한강 수계로부터 많은 양의 퇴적물이 유입된다. 연구지역에서 2003년 8월에 83개 정점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표층퇴적물은 5개의 퇴적상으로 구성 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모래 펄 퇴적물은 강화 남단 갯벌에서 우세하였고, 반면에 모래 퇴적물은 강화도 서부의 수로와 조하대에서 우세하였다. 이 지역의 1997년 8월 퇴적상과 비교하여 모래 펄 퇴적물은 갯벌의 동쪽으로 확장 되었다.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채취한 3점의 주상 시료에 대한 퇴적학적 분석 결과, 사층리 모래층, 실트-점토 호층 엽리 실트, 생물교란 실트등 세 개의 퇴적상이 인지되었다. 이들 퇴적상의 분포는 조수로 인근 지역이 전반적으로 퇴적률이 높으며, 특히 동검도 동쪽 갯벌에서 최근 급격한 퇴적 작용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수리학적 관측을 위하여 2003년 6월에 염하수로의 초지대교 부근(K1)과 동검도 남부 수로(K2)에서 12시간 30분 동안 정선 관측을 실시하였다. 잔여유속 계산 결과 이 지역은 썰물이 강하게 나타났다. 각 수층의 부유물질 양에 의하여 계산된 순 부유퇴적물 이동양은 한 조석 주기 동안 염하수로에서는 외해로 309,217.9kg/m가 유출 되며, 동검도 남부 수로에서는 외해로 128,123.1kg/m가 유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검도 남부 수로에 비하여 염하수로의 순 부유퇴적물 이동양이 높은 것은 갯벌의 동부에 한강에서 유입된 많은 부유물질이 퇴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목차
요지
1. 서론
2. 조사 지역
3. 연구 방법
3.1 표층퇴적물
3.2 주상퇴적물
3.3 부유 퇴적물 유출입
4. 결과 및 고찰
4.1 표층퇴적물
4.2 주상퇴적물
4.3 부유퇴적물 유출입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국립해양조사원, (1998) 1998년 조석표,
- 2농어촌진흥공사, (1995) 한국의 간척,
- 3수로국, (1981) 영종도에서 용매도 해도,
- 4우한준 ; 제종길, (2002)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 5장진호, (1995) 한국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퇴적작용,
- 6최강원, (1998) 간척사업과 지형진화 (I), 강화도,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 7한국해양연구원, (2001) 강화도 어업피해 및 경인지역 공동보 상관계 보상금 분담 조사용역(1차 중간보고서),
- 8Folk R.L,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eum
- 9Gao S, (1990) Fine-grained sediment transport and sorting by tidal exchange in Xiangshan Bay, Zhejiang, Chin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 10Kim Y.H, (1997) Holocene transgressive stratigraphy of macrotidal fla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Gomso Bay, Korea,
- 11Kim Y.H, (1999) Holocene transgressive stratigraphy of macrotidal fla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Gomso Bay,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 12Lee H.J, (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 13Nichols M.M, (1977) Response and recovery of an estuary following a river flood,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