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특성

원문정보

Salinity Distrib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Han River Estuary

박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ater quality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Han River estuary was analyzed using the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fro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and the existing data collected in this area. Based on the salinity distribution and changes of current direction in the lower Han River and its estuary, boundaries of the estuary were identified and also,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phyto- and zooplankton, benthos, ichthyoplankton and fish were discussed related with the salinity changes in the macrotidal subestuary of Han River.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alinity suggested that the direct impact of freshwater be limited to the Incheon North Harbour all the year round and even extended to the southern area of Gyunggi Bay near Palmi island during limited time, usually in summer. Upper limit of salt water intrusion through the Han River is likely to be Singok underwater dam located Gimpo, Gyunggi Province, and normally limited to much lower part of the river, Jeonryuri, Gimpo. Biological boundaries of the Han River estuary exceeded the physical boundaries based on the salinity distribution. Many estuarine species in plankton and fish were found at the totally freshwater or saltwater depending on the seasons and tidal cycles. Some estuarine ichthyoplanktons showed extremely limited distributions in the estuary
whereas adult fish revealed wide ranges of salinity adaptation. Critical environmental issue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its drainage basin are likely to be 1) pressure on development-promoted district for new town in the drainage area of the estuary, 2) reduction of tidal flat by reclamation, 3) pollutant input through river from municipal sewages and industrial wastes, and 4) ecological barrier between river and terrestrial systems by the military wire fence and riverside road.

한국어

한강 하구의 염분 및 생태 환경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발표된 논문과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한강 하구의 염분 분포 특성을 구명하였으며, 염분과 연관하여 동식물플랑크톤, 저서생물 및 어류플랑크톤의 분포를 논의하였다. 염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고려할 때 인천북항 주변 해역은 계절에 무관하게 연중 한강 유입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담수 유입량이 많은 하계에는 팔미도 해역까지 담수 영향권이 확대되었다. 반면 해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상한선은 한강 본류인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의 신곡수중보에 이르며, 해침이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수역은 이보다 더 하류인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로 판단된다. 동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담수 및 해수 지역에서 혼재되어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염분의 분포 범위보다 훨씬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기수성
어류플랑크톤은 매우 제한된 수역에 분포하는 반면, 성어는 그 분포범위가 담수에서 해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경험적 분석에 의한 한강하구 환경의 문제점은 1)한강 하구 및 유수지역의 개발 압력에 따른 환경 파괴, 2)갯벌 매립에 의한 조간대 상실, 3)군사용 철책에 의한 육수전이환경(陸水轉移環境)의 생태적 단절이 매우 심각하였다.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가. 수질 및 물리적 특성
  나. 생물상 분포
  다. 경험적 분석에 의한 한강하구환경의 문제점
 5.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경수 Gyung Soo Park.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