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

원문정보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ns

김경춘

한국선학회 禪學(선학) 제17호 2007.08 pp.237-27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ns is continuous with, "the modernization and identity-establishment", a challenge of the world of modern Buddhism. The background of Buddhist Reform Movement appears on the three aspects of history, thought and religion. First, for history the world of modern korean Buddhism ha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policy of Japan's Korean Peninsula. Second, on thought it had been influenced by the Enlightenment Thought,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the Counter Reformation Movement. Third, the registry background was the Religious freedom on the Korea and France
Amity Commercial Treaty of 1887.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is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before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Reform theories on hit the paper, whereas one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practicing Reform Movement by the Taegakkyo and the Won Buddhism of New Religions.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ns are the following meaning. Firstly, those have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with mission and the translating Sūtras in Korean. Secondly, those are realized the Reform Movement through the
revolution of Buddhist Monk's Organization's aiming at the Self Supporting Economy of Buddhist Temple.
Thirdly, Those established the Buddhist Identification by regarding the Korean Buddhism as the religion of people and were born again with the Popular Buddhism.
But They were limited by the current conditions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First, the Reformers of the existing Buddhist world didn't bear fruit of the subjective Reform because of lacking of the realistic understanding at that time and the Statue for korean Buddhist temples. Second, the Taekagkyo and the Won Buddhism of the New Religions had limit to that is
called the lack of an anti-japanese movement and a class consciousness.

한국어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근대한국사회에서 한국불교의 ‘근대화’와 ‘정체성 확립’이라는 근대불교계의 과제와 연관된다. 불교개혁운동의 배경은 歷史的, 思想的, 宗敎的 측면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타난다. 첫째, 역사적 배경으로써 근대불교계는 일본의 한반도 정책과 긴밀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사상적 측면에서는 開化思想, 社會進化論, 反宗敎運動의 영향이었다. 셋째, 불교개혁운동의 종교적 배경은 1887년 韓佛修好通商條約으로 인한 信敎의 자유였다.
불교개혁운동은 3・1운동을 전후하여 차이를 나타낸다. 3・1운동 이전의 불교개혁운동이 紙上에 발표된 개혁론이었다면, 3・1운동 이후의 불교개혁운동은 신흥종단인 대각교와 원불교의 실천적 개혁운동이었다.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포교, 역경을 통한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둘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사원경제의 자립을 지향함으로써 승단의 혁신을 통한 개혁운동을 현실화시켰다. 셋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민족종교로써의 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중불교로 거듭났다.
그러나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이 日帝 치하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 기존 불교계의 개혁론자들은 당시의 현실인식의 부족과 日帝의 사찰령 때문에 주체적인 개혁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둘째, 신흥종단인 대각교와 원불교는 抗日운동과 계급의식의 부족이라는 한계를 보였다.

목차

1. 머리말
 2. 불교개혁운동
  1) 불교개혁운동의 배경
  2) 불교개혁운동의 전개
 3. 신흥종단의 출현
  1) 신흥종단의 출현의 배경
  2) 신흥종단의 활동: 大覺敎와 圓佛敎의 불교개혁운동
 4.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의 意義와 한계
 5. 맺음말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 문헌

저자정보

  • 김경춘 동국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