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if a community-based strok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lients’ functionality and quality of life,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f a community-based fieldwork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degree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fieldwork education.
Method : The subjects consisted of clients who participated in a strok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who took part in operating the program.
1) The clients had an initial evaluation, 10-week intervention, and two re-evaluations from April to November, 2006. The number of clients who were studied was 26.
2)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valuation, intervention planning,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a re-evalu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ieldwork education connected to their school subject was measured using 50 of the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 Wilcoxon matched-paired sign-ranks test was used to pr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ients' before and after variabl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students' satisfaction.
Result :
1) There was improvement in client functionality overall, and particularly significant results were in balance ability, pain, and pressure (p<.05). Quality of life improved on the whole, and general heal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2) The mean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field education was 4.32 out of 5, which was high, and that of satisfaction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was 4.46±0.61 (M±SD), which was the highest.
Conclusion : The community-based strok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lient functionality and quality of life, and the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managing of the field education. Therefore, a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through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community-based strok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and high-quality field education where students can have enough experience and confidence to help them conduct their roles as occupational therapists after graduation is required.
한국어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중심 뇌졸중작업치료프로그램이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 분석하고, 실습교육으로서 학생들의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여 지역사회중심 임상실습교육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연구대상은 뇌졸중작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와 프로그램의 운영에 참여한 작업치료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1) 클라이언트는 2006년 4월-11월 동안 2차로 나누어 초기평가-10주 중재-재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6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2) 작업치료과 학생들은 평가, 중재프로그램 계획, 프로그램 실행, 재평가에 참여하였으며, 그중 설문에 응답한 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과목과 연결된 임상실습교육으로서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클라이언트의 전·후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윌콕슨 쌍대비교(Wilcoxon matched-paired sign-ranks test), 학생들의 만족도분석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결과:
1)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에서는 전반적으로 호전되었으며, 특히 균형능력과 감각 중 통증과 심부압박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5).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좋아졌으며, 특히 일반적 건강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학생들의 실습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4.32/5점 척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향상의 만족도가 4.46±0.61(M±SD)로 가장 높았다.
결론:지역사회중심 뇌졸중작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학생들의 실습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양한 지역사회중심 임상실습교육프로그램의 개발·운영을 통해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학생들에게는 학교 졸업 후 임상에서 초임 작업치료사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자신감을 제공할 수 있는 질적인 임상실습교육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평가도구 및 방법
3. 연구과정
4.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뇌졸중 클라이언트 치료 전·후 분석 결과
2. 작업치료과 재학생의 만족도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권용철, (1989) 의 표준화 연구-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 2김경미, (2002)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과목과 직무와의 연관성에 관한 조사,
- 3김진경, (2004)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습에 관한 연구,
- 4(2004) 작업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습에 관한 연구,
- 5(2002)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연구,
- 6이미자, (2004) 작업치료 교육에 있어서 임상실습교육 현황 분석,
- 7(2006) 노인작업치료학, 서울: 한미의학
- 8이현주 ; 이충휘 ; 유은영, (2002) 노인에서 Berg 균형척도, 보행변수, 그리고 넘어짐과의 관계,
- 9정원미, (2002) 작업치료 이론과 적용, 서울: 정담미디어
- 10(2004) 만성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