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a sensory profile using a back-translation method.
Methods : Translation of a sensory profile(SP) was completed using 6 steps. Three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translated the text of a sensory profile from English into Korean. Then, three bilingual (English,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assessed the language compatibility for 125 Korean-translated items. After correcting the inappropriate items, 12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rated their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Korean-translated items. Next, a review by committee was completed. The back-translator translated the final Korean-translated items back into the original language. One bilingual physical therapist and two native speakers then assessed the language compatibility and similarities of interpretation between the original
and translation versions.
Results : Among 125 Korean-translated items, six items were deemed inappropriate. After correcting the six inappropriate items, an additional fourteen items that were responded by 12 parents as inappropriate were corrected again. A final Korean version was completed by the reviewers of the committee. Using a back-translation method, fifty inappropriate items were selected and corrected. the back-translation process was repeated to attain at least 3-points in similarity of interpretation when the original and translated versions were compared. Finally, the similarity of interpretation between the original and translated versions showed conceptual equivalence.
Conclusion : The content validity of a Korean-translated version of a sensory profil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following: translation, identification of the compatibility of the Korean-translated version, parent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version, a review by committee, and a back-translation method.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Sensory Profile(SP) 평가도구를 적합하게 사용하기 위해 역번역 방법을 통하여 SP 평가도구를 한국어로 체계적으로 번역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SP의 번역 작업은 총 6단계를 거쳐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로 작업치료사 3명이 SP 125개 항목을 한글로 번역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2개 국어(영어, 한국어)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 3명에게 5점 척도로 한글 번역의 적합성을 검증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부적절한 번역항목을 수정한 뒤 장애아동의 부모 12명을 대상으로 평가항목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네 번째 단계는 이해도가 낮은 항목을 수정 한 뒤 번역 검증 위원회에서 최종 수정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로 번역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최종 한글 번역본을 영어로 역번역하였다. 마지막으로 2개 국어를 사용하는 재활전문가 1명과 영어가 모국어인 자 2명에게 원문과 역번역본간의 언어의 구조적 유사성과 의미 전달의 유사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SP원문과 역번역본간 문장의 의미전달 유사성의 점수가 3점(보통)이상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 시행하였다.
결과 : 한글로 번역된 SP 125개 항목에 대한 번역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6개항목이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수정한 뒤 125개 항목의 이해도를 평가한 결과 14개 항목이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수정 후 번역 검증 위원회를 거쳐 한글 번역본을 완성하였다. 한글번역본을 영어로 역번역 한 뒤 원문과 비교한 결과 문장 구조의 유사성에서는 50개 항목, 문장의 의미전달의 유사성에서는 43개 항목이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 항목들에 대해서 한글번역 항목을 수정한 뒤 영어로 2차 역번역하였고, 원문과 비교한 결과 문장 구조의 유사성에서는 25개 항목, 문장의 의미전달의 유사성에서는 22개 항목이 낮은 점수를 얻어 한글 항목을 재수정 하였다. 3차 역번역 검증 결과 모든 항목이 SP원문과 역번역본간에 문장의 의미전달의 유사성에서 3점(보통)이상으로 수정해야 할 항목은 없었다.
결론 : 한글번역, 번역의 적합성 검증, 평가항목의 이해도 검증, 번역 검증 위원회, 역번역 검증의 엄격한 번역 절차를 통해 SP 평가도구의 국내적용을 위한 내용타당도를 높였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과정
Ⅲ. 연구 결과
1. 한글번역 및 번역 적합성 검증 결과
2. 한글번역의 이해도 검증결과
3. 번역 검증 위원회 검증 결과
4. 역번역 검증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