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조합 hTPO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위한 Retrovirus Vector System의 구축

원문정보

Construction of Retrovirus Vector System for the Regulation of Recombinant hTPO Gene Expression

권모선, 구본철, 김도향, 김태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nd tested retrovirus vectors designed to express the human thrombopoietin gene under the control of the tetracycline-inducible promoters. To increase the hTPO gene expression at turn-on state, WPRE sequence was also introduced into retrovirus vector at downstream region of either the hTPO gene or the sequence encoding reverse tetracycline-controlled transactivator (rtTA). Primary culture cells (PFF, porcine fetal fibroblast; CEF, chicken embryonic fibroblast) infected with the recombinant retrovirus were cultured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doxycycline for 48 hr, and induction efficiency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hTPO gene expression level using RT-PCR, western blot and ELISA. Higher hTPO expression and tighter expression control were observed from the vector in which the WPRE sequence was placed at downstream of the hTPO (in CEF) or rtTA (in PFF) gene. This resulting tetracycline inducible vector system may be helpful in solving serious physiological disturbance problems which have been a major obstacle in successful production of transgenic animal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외래 유전자의 지속적인 발현에 의한 형질 전환 개체나 세포의 생리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hTPO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tetracycline-inducible retrovirus vector system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hTPO 유전자는 사람의 간암세포인 HepG2에서 분리한 RNA를 주형으로 하여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확보하였으며, 이 유전자를 MLV 유래의 vector에 도입하여 pLNChTPOW를 재조합하였다. 재조합한 vector는 GP2 293 포장세포에 도입하여 바이러스를 생산하였으며, 이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감염시킨 여러 표적세포에서 hTPO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hTPO의 발현을 유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hTPO를 one vector 형태의 Tet-On vector system에 도입하였으며, 발현의 유도 조건에서 보다 강한 발현을 위하여 WPRE 서열을 여러 위치에 도입하였다. 구축한 Tet system의 발현 조절 정도는 각 바이러스를 감염시켜서 구축한 CEF와 PFF 세포에서 RT-PCR과 Western blot, 그리고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CEF에서는 WPRE 서열이 hTPO 유전자의 3'에 위치한 경우에서, PFF에서는 WPRE가 rtTA의 3'에 위치한 경우의 vector system에서 가장 높은 발현율과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Tet system에서의 hTPO 유전자 발현 조절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세포주에 따른 의존적인 조절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hTPO의 대량 생산을 위한 생체 반응기로서의 형질 전환 동물의 개발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면 적절한 Tet system이 선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재료 및 방법
  사람의 TPO 유전자의 확보
  Retrovirus Vector의 구축
  Virus의 생산 및 표적세포의 감염
  재조합 hTPO의 발현 검증
  RT-PCR
  Western Blotting
  ELISA 분석
 결과
  hTPO 유전자의 확보와 발현 확인
  Tet System을 이용한 hTPO 유전자의 유도적 발현 여부 확인
 고찰
 인용문헌

저자정보

  • 권모선 Mo Sun Kwon.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구본철 Bon Chul Koo.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김도향 Do Hyang Kim.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김태완 Teoan Kim.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