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ssues and possible direc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search and reform agendas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not only new topics but proposed by many researchers and government initiatives. But these agendas were not based on thorough analysis and review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emselves, namely attributes of a knowledge base f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issues and related problem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this paper,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composed of general education(liberal arts and sciences), subject-matter, professional studie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ethod course), foundations of educations, practicum(student teaching).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problems of teacher education are reviewed using the Cochran-Smith & Fries(2005)'s three "the problem" of teacher education: training problem, learning problem, policy problem. In this context, the problem means as social science researchers do to define the problem to be addressed by a particular study, including issues, questions, and conditions. For possible future direction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Restructuring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for teachers and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programs, developing new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omorrow schools and societies(eg. programs for diverse student population), reinforcing the university-school relations in teacher education, integrating in every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growth of understanding and practical competences for future teachers, supporting and helping teacher educators to adapt to new roles as scholars, researcher and teacher educators.
한국어
이 논문은 최근 교원 자격 무시험검정 기준 강화, 교육과정 최소 기준 설정 등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고 있는 가운데 교원양성교육의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검토함으로써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요 쟁점과 가능한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각 영역(교양교육, 전공교육, 교직교육)의 성격과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Cochran-Smith와 Fries의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 틀을 활용하여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들을 훈련의 문제, 학습의 문제, 정책의 문제로 구분하여 재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미래 교원의 핵심능력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사회 변화에 따른 현장 적합성과 연계성을 강화한 교육과정 구성, 교원양성 교육과정 간 연계와 통합성 강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전 영역에서 이론과 실제의 조화, 교사교육자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을 발전 방향과 과제로 제시하였다.
목차
I. 문제 제기
II.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구조와 성격
1.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지적 기반
2.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구조
3.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성격과 쟁점
III.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현황
1. 초ㆍ중등 교원양성 교육과정 구성 현황
2. 신규 교원 자격검정 및 교원양성 교육과정 최소 기준의 법제화
3. 교원양성 교육과정 문제의 재검토
IV.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과 과제
1. 미래 교원의 핵심능력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 양성교육과 현직교육 역할 분화
2. 사회 변화에 따른 현장 적합성과 연계성을 강화한 교육과정 구성
3. 교원양성 교육과정 간 연계와 통합성 강화
4. 이론(이해)과 실제(수행 능력)의 조화
5. 교사교육자에 대한 지원 강화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2005) 초등교사 양성교육을 위한 교사론 프로그램 및 지도방법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2(2005) 교원양성체제 개편 종합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 3(2006)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 4(2007a) 2007년도 교원자격실무편람,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양성연수과
- 5(2007b) 초등 교사자격 무시험검정 기준의 법제화 추진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 6(2004) 교원양성체제와 신규 임용, 한국교원교육학회
- 7(1983) 중등학교 교사양성과정의 개선 방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 8(2004) 교원자격양성제도 개편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9(1998) 교직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양성 교육과정 한미 양국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 10(1994) 교사교육체제와 질 관리 교육학연구,